-
-
그리스 신화 - 다시 읽는 신화 이야기 ㅣ 한 권으로 끝내는 인문 교양 시리즈
시마자키 스스무 지음, 정보현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4월
평점 :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시마자키 스스무 지음/ RHK(펴냄)
만화나 게임 캐릭터, 소설 혹은 연극, 드라마와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그리스 신화, 너무 많이 인용되어 더 이상 새로운 게 있을까 싶은 순간 이 소재로 또 영화가 개봉되곤 한다. 유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 단연 그리스 신화일 것이다.
1장에서 그리스 신화 입문자들을 위해 신화의 개요가 소개된다. 일본인 저자의 시각에서 본 그리스 신화는 어떤 느낌일지 무척 궁금했다. 신화의 주요 무대 등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점이 눈에 띈다. 먼저 그리스 신화가 대륙을 넘어 다른 문화권에서도 잘 수용된 이유를 서술한다.
시공간의 차이가 엄청나지만 인류 보편적인 가치는 비슷하다.
인간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각종 금기들! 전승되면서 인간이 좋아할 만한 요소가 추가된 점, 신들이라고 해도 인간과 다를 바 없는 본래의 성격이 잘 드러나서라고 한다. 그리스 신화의 정본을 찾는 부분 인상적이다. 연구자마다 다양한 이론을 제시하는 그리스 신화다.
내가 궁금했던 것, 제우스는 왜 자꾸 바람을 피우는가? 단지 질투심 많은 이미지로만 그려지는 헤라에 대해서도 궁금했다. 두 집단이 하나로 만나는 과정 흥미롭다. 이런 부분은 이윤기 선생님의 그리스 로마 벽돌 책에서 언급된 부분이다.
신도 아니고 인간도 아닌 존재 괴물들의 흥미로운 모습 그리고 신들은 왜 나체로 묘사되는지도 당대 분위기는 전라로 표현할 때 인간의 외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내적인 부분까지 표현된다고 믿었다.
각 챕터마다 그리스 신화에 대한 토막 상식이 서술된다^^ 예전에 만난 그리스 신화 책들이 그 와닿지 않는 어마어마한 가계도들 때문에 읽기가 힘들었다면 이 책은 접근하기 편한 구성이다. 그런데 나만 느끼는 걸까? 신들의 모습이 꽤 동양적이다. 의도하고 그렇게 그린 건지는 모르겠지만 보는 눈이 편안한 느낌^^
신화의 주요 무대 그리고 그리스 신화를 기독교의 신과 무엇이 다른지 비교하는 부분. 키르케와 세이렌을 언급하며 책은 마무리된다.
이전에 한국인 저자 혹은 유럽 저자의 그리스 신화 분석을 주로 만나다가 일본인 저자의 시각에서 서술되는 그리스 신화 색다른 느낌이었다.
문학부 사학을 전공한 저자는 신화, 종교 등 다양한 저술활동을 하는 분이다. 한 권으로 끝내는 인문 교양 시리즈, 신화 입문자들에게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