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의 불시착 세트 - 전2권 - 진짜 백석의 재발견
홍찬선 지음 / 스타북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홍찬선 장편소설/ 스타북스 (펴냄)







책표지부터 인상적, 오늘날까지 통틀어 가장 잘생긴 미남 시인, 작가는 백석 아닐까^^

작가의 말에서 백석 시인은 작가에게 찾아와 사실을 바로잡아달라고 부탁한다. 자야에 관련된 것은 거짓이라고 말했고 이것은 꿈이었다.





저자가 다닌 곳은 백석 시인의 혼이 묻어나는 곳은 다 찾아다녔다. 백석 시인이 다녔던 도쿄의 청산학원대학 등, 만주국 국무원에서 근무한 시절, 백구둔 지역의 농사짓던 시절의 백석을 찾아다니는 여행이었다.






백석 시인의 시가 소설에 인용된다. 일부는 작가의 허구이기도 하다.

시인이 사랑한 여자 연이, 두 사람의 사랑을 길지 못했다. 시인은 자신의 죽음을 예감이라도 한 걸까!! 연이를 떠올리는 시인, 친구 결혼식 축하연에서 처음 만난 두 사람.




사람들이 너무나 궁금해하는 백석의 시 중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에서 나타샤는 누구일까?




분야 연구자들이 추적해왔지만 정확히는 알 수 없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아는 알려진 인물 김영한이라는 인물이 아닐 가능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진주의 연이, 나사랑 시인, 이즈반도의 이사벨....

시인에게 영감을 주는 뮤즈들, 그리고 당대 시대상이 엿보였다. 항일독립투사를 팔아먹고 변절하는 인간도 많고, 당대 긴박한 상황이 머릿속으로 그려진다.

딱 하나의 길이 있었다. 죽음이었다.





죽어서 자유로워진 영혼은 어디든 갈 수 있었다. 죽은 이에게 사람이 만든 철조망은 더는 장벽이 아니었다. p. 31


시인 노천명과의 만남, 윤동주 시인이나 이중섭 화가와의 만남도 묘사된다.

백석 문학회의 창립, 만주로 이동한 이후의 삶이 숨 가쁘게 펼쳐졌다. 책 마지막에는 부록으로 김영한이라는 인물을 추적한다. 백석은 일본어로 시를 쓰지 않았고 일제가 경영하는 신문에는 글을 싣지 않았다.






머니 투데이 경제부 기사로 28년을 회사를 그만두고 작가로 활동 중이신 저자.

백석에게 매력을 느껴 오랜 시간 그의 삶을 추적하고 이 소설은 그 결과물이다. 백석을 재조명하고 다시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