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을 위한 성과면담의 기술 - 성과 미팅이 힘겨운 팀장들을 위한 코칭 대화법 팀장의 서재 5
김정현 지음 / 센시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김정현 지음/ 센시오 (펴냄)








대화 중요성은 굳이 말로 하지 않아도 다들 아실 것이다.

팀장=성과

팀장은 어떻게든 자신이 이끄는 팀 내에서 성과를 만들어 내야 한다. 오랫동안 이 분야를 연구한 저자는 팀장의 역량을 코칭 팀장이라는 단어로 설명한다. 코칭이라는 단어는 학습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팀원의 결과물을 '평가'하는 역할이 아니다! 팀원과 함께 성장하는 '코치'의 역할이다. 운동경기에서 초기의 역할을 떠올려보니 금방 와닿는다. 선수 각자가 가진 역량을 최대치로 발휘하게 만들어주는 역할. 심지어 운동선수 출신이 아닌 코치들이 더 잘할 때도 많지 않은가 ^^








굳이 책 내용을 베껴서 코칭에 대한 정의를 쓰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코칭을 통해 구성원 스스로가 도달할 목표를 정하게 하는 점은 우리 삶에도 적용된다. 아이를 양육할 때 혹은 교사로서 학생을 대할 때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스스로 온전하며 해답을 갖고 있다는 문장에 밑줄 그었다.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온전하고

해답을 갖고 있으며

창의적인 존재다.







잘 듣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는 수백 번 들은 것 같다. 그렇다면 잘 듣기 위한 방법은 뭘까?

일단 경청의 태도한!! 몸으로 듣는 태도, 또한 분위기로도 듣는 말로도 내가 경청하고 있음을 알리는 태도다.


피드백 역시 중요한데, 피드백이 없으면 팀원은 자기가 어디쯤 가고 있는지 도무지 알 수 없기에 적절한 피드백이 정말 중요하다. 사실 피드백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ㅎㅎ책에 부록으로 각 챕터 끝부분에 다양한 자료가 제시되어 있다. 성과 면담의 스킬, 방법, 나의 유형까지 파악할 수 있다.



그렇다면 코치가 하지 말하야 할 일은 뭘까?


코칭의 반대 이미지를 떠올려보면 금방 와닿는다 ㅎㅎㅎ


무엇보다 재밌게 읽었던 부분은 실질적인 질문 사례,

나는 코칭이라는 단어 자체가 부담스럽다는 상담자, 우리 팀원은 성과에 대해 관심조차 없는 것 같아 힘들다는 팀장의 사례, 제대로 질문하는 방법을 모르겠다는 분, 대화하다 보면 결국 질책으로 바뀐다는 분, 어떻게 구체적으로 칭찬해야 할지 모른다는 분 등 다양한 사례가 제시되어 있다. 그 해답을 책에서 찾아보시길. 팀장 vs 직원이 아닌 우리 삶의 그 모든 대화에 써먹을? 수 있는 대화법이다^^






부제인 성과 미팅이 힘겨운 팀장들을 위한 코칭 대화법, 성과 관리에 대한 언급은 매해 업무계획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책은 팀장을 그 대상으로 언급하지만 팀장뿐 아니라 그 모든 숙련된 관리자, 조직 운영자들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