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지의 늑대 - 변방에서 중심으로 아세안의 맹진격 늑대 시리즈 3
김영록 지음 / 쌤앤파커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김영록 지음/ 쌤앤파커스 (펴냄)










구글의 이사인 레이 커즈와일이 제시한 특이점!의 시대가 이미 온 것은 아닌지... 인공 지능의 시대, 우리는 이제 AI 없이 일상을 살 수 없다. 오늘 내가 사용한 AI를 떠올려보면 거의 모든 행동에 적용될 것이다.


책은 아시아가 근대화에 뒤처진 이유를 시작으로 경제적인 궁핍의 시대를 거쳐 이제 세계 경제의 무대가 서양에서 아시아로 넘어오고 있음을 서술한다.

책의 참고 자료를 보면 스타트업 활성화된 곳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이다. 예상했던 최근 관심 주목되는 곳,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은 과거 식민지였던 곳이 많다. 이들이 과거의 트라우마를 벗어버리려면 과거와 마주해야 한다.








스타트업의 생태학이라는 학문을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해본다.

경영학 혹은 경제학자가 쓴 책은 종종 읽었으나 이것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들여다보기는 처음이다. 문이과 통합의 시대에 참으로 시의적절한 출간이랄까.. 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 유발 하라리 외에도 많은 학자들의 책 속 문장을 언급한다.



동남아시아와 아세안의 의미부터 다르다는 저자, 오!! 이런 거 책을 통해 처음 알았다. 각 나라별 스타트업의 프로그램들, 과연 무에서 유를 창조해가는 아세안들이 스타트업을 바라보는 방식 그리고 외국 자본을 유치하는 방법 등 실리콘밸리와는 다른 차별화된 전략을 챙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같은 아세안이지만 나라별 특수성 현실이 처한 문제점은 사뭇 달랐다. 스타트업의 생태를 살피기 전 각 나라별 역사를 먼저 들여다 봐야 한다는 점도 알게 되었다.


또한 이들 인재들, 각 나라별 유능한 인재들이 결국 실리콘밸리로 빠져나가는 현상도....







이 문제는 교육과 맞물린다. 저자의 견해 중 가장 공감했던 챕터가 바로 교육에 대한 부분이다. 경제가 망해서 나라가 붕괴되는 것이 아닌 우리나라는 교육 때문에 병든다. 지난 30년간의 교육은 병들 대로 병들어 학생, 부모, 교사의 3자가 모두 앓고 있다.


교육은 기득권 유지를 위한 수단이 아니었나? 그들의 특권을 합리화하기에 우리 교육은 참 좋은 도구인 거 같다. 너는 공부하라고 할 때 안 해서 가난한 삶을 살게 되었다는 방식의.... 전 국민을 공부로 줄 세우는 나라. (줄 세울 게 공부밖에 없어서?) 우린 그저 가진 게 인적자원뿐이라서? 그런 말은 이제 인공지능 시대에 답이 될 수 없다. 심지어 소통하기 너무나 힘든 다민족, 수십 개의 언어를 가진 인도네시아 같은 나라도 교육정책은 바뀌고 있다. 우리는 단 하나의 언어 좋은 소통의 도구를 갖고도 이렇게밖에 소통하지 못하는가...ㅠㅠ 저자 문장에서 변화 없을 때가 가장 위험한 상태라는 말에 공감한다. 그 많은 아이들을 전쟁이나 재난이 아닌 자살로 잃고도 여전히 굳건하게 변하지 않는 우리의 교육제도 천편일률적인 교육부 장관들ㅎㅎㅎ 타 도시, 타국, 혹은 타민족에서 배울 점은 과감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책 후반의 스타트업 신규 유니콘 기업 아이템 참고해 보시길~!





책의 제목 미지의 늑대에서 '미지'란!!

모르는 것을 말할 때의 미지, 아직 가보지 않은 것의 미지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그 어떤 것도 좋다. 다시 일어설 기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