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발 달린 법랑 욕조가 들은 기이하고 슬픈 이야기
미겔 본푸아 지음, 윤진 옮김 / 복복서가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겔 본푸아 장편소설/ 복복서가 (펴냄)











저자 개인사를 보면 베네수엘라인 어머니와 프랑스계 칠레인 아버지라는 가계도에서 소설의 모티브가 시작된다. 물론 이 소설은 저자 본인의 얘긴 아니다. 1세대 주인공 롱소니에는 포도 재배에 실패하고 이주를 결정한다. 그 와중에 예상치 못한 곳 산티아고에 정착하게 되는데 비극은 2대 아들인 라자르와 3대인 딸 마르고 그리고 그의 아들 4대 일라리오로 이어진다. 무려 100여 년의 가계도, 한 집안의 경험이자 전쟁의 시대를 살던 사람들의 비극적인 개인사다.






많은 장면이 기억에 남지만 특이할 만한 것을 대충 적어보면 1세대에서 네 발 달린 욕조를 사는 장면

2세대 라자르가 전쟁에서 겪는 비극, 3세대 딸 마르고가 칠레 최초의 여성 비행사가 되는 장면 등이다.






아직도 여자아이들한테 자수 놓는 법이나 가르치는 건 말이 안 되지 p128

( 여자가 입학하면 안 된다는 규정이 없어서 입학!! 이후 정비사들의 노골적인 성적인 농담을 견디며 비행 수업에 임하는 마르고에게 격려의 차원에서 한 말인데 이런 생각하는 남자가 있다는 것에 감사해야 하는 시대였다.......................................:)





비행기의 유선형을 보며 마르고는 초기 사회는 분명 모계 사회였을 것이며 비행기야 말고 여성적이라고 생각하는 장면에 공감한다 ㅎㅎ 그러면서 마르고를 응원하는 마음!!! 이 무렵 전쟁이 터지는데 칠레의 당시 시대상을 읽을 수 있다.






여성 비행사들도 전쟁에 힘을 보태고 싶습니다 p140

프랑스를 위해 싸우러 갈래요 p141






독일군과 전쟁에서 마주했을 때 이웃 마을의 남자였던 독일 군인 ㅠㅠ

군의 비밀을 말해주는데.... 라자르는 과연 어떻게 할까? 아마 나라도 라자르처럼 하지 않았을까? ㅠㅠ





전쟁은 개인의 삶을 완전히 망가트리고 그 자손들의 삶마저 망쳐놓는다. 인류 시작부터 단 한 번도 멈춘 적 없는 전쟁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게 되는 소설이다. 잠시 잊고 있던 전쟁사 나의 세계대전 벽돌 책을 다시 펼치게 만든 소설!!





포도나무 한 그루로 시작한 소설의 마지막 장면에서 일라리오는 다시 포도나무를 가지고 프랑스에 도착한다.

프랑스에서 출발해서 프랑스에서 끝난다. 지극히 환원적인 서사다. 어쩌면 영웅 스토리다. 전쟁의 시대를 살아남은 자들은 모두 영웅이었으니....

근현대사를 살아낸 한 가족의 비극을 담담히 그려내는 소설. 마지막 희망을 다 잃은 순간에도 그들에게는 용기가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