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차별 - 그러나 고유한 삶들의 행성
안희경 지음 / 김영사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희경 (지음)/ 김영사(펴냄)











정체성이라는 말 자주 쓰는데 '정체성'이란 무엇인가? 미국 이민자의 시선에서 본 정체성, 이 책은 내 존재에 대한 질문이다. 굳이 이민자가 아니더라도 한국 사회에서 내 정체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 여자 사람으로서.....


저널리스트인 저자, 무려 4년에 걸쳐 이 시대의 지성들을 만나 3부작 기획 대담집 〈하나의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 〈문명, 그 길을 묻다〉 〈사피엔스의 마음〉을 썼다. 이 외에도 예술, 문화 비평 등 다양한 영역에서 내로라하는 세계의 석학들을 만난 분이다. 세상에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을 실제로 만나신 분!! 이 책은 미국과 한국의 여러 사각지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 주로 노동자, 여성, 어린이 등을 만나고 얘기 나눈 기록 그 누적된 결과물이다.







"다문화가 무엇이라고 생각해요?"

"다양한 문화요"

"우리는 모두 다양한 문화를 갖는 다문화예요. 한국인들끼리도 각자 다른 사고방식과 취향을 갖기에 다문화입니다" p113

이 말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이 있을까?!!!

다문화에 대한 설명을 하는 조합원 강사 김홍리 씨의 이야기다. 다문화 이주 강사, 이주여성도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분이다. 책에는 많은 인물이 언급되는데 흥미진진하다.







역사란 모든 개인이 살아온 시간의 합이다. 오늘을 사는 나와 당신이 그 역사의 뉘앙스를 이루고 있겠지. 고유하게 p45


책에는 여러 사례가 소개된다. 흑인 아버지를 둔 수정 님, 섞인 사람은 죄인이냐고 말한다. 또 한 사례로 김 할머니를 통해 미군 남편을 만나 미국으로 건너간 여성들의 삶을 유추할 수 있다. 미군과 결혼한 여자에 대해 담장 밖으로 선 긋는 사람들, 그러나 주류사회로 뛰어들어 취직하고 장사도 하고 억척스레 경제력을 키운 분도 많다. 이민자들끼리의 연대에서 이민 이전의 삶을 '전생'이라 부르는 것 ㅎㅎㅎ 그 의미를 생각해 보면 이민 이전의 삶을 빠르게 잊고 어서 미국 사회에 적응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반대로 한국 사회에 들어와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있었다. 우즈베키스탄에서 온 자신을 고려인이라 소개한 분, 최저 임금을 받는 그녀는 집 현관이라는 일상의 국경을 매일 넘는다고 말한다 ㅠㅠ 한국 영주권을 얻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이렇게 높은 줄 처음 알았다.

( 한국 사회 영주권: 연 수입 7천만 원이 넘어야 하고, 6천만 원 이상의 금융 재산과 공시지가 6천만 원 이상의 부동산을 소유해야 한다고 함)






우리는 모두 다름을 안고 살아간다는 책의 서문부터 울림을 준다. 묵직한 주제를 다루고 있음에도 책은 정말 재밌게 읽혔다.

이주 노동자의 이야기, 성 소수자의 목소리, 이민자 1세대 2세대 이야기, 구로 공단의 노동자 이야기, 결혼 이주 여성의 이야기. 사회 취약 계층의 목소리를 담은 책. 의도하지 않은 곳에서도 스며드는 차별에 대해!!





이방인이 되는 시간을 건너는 법에 대해, 정체성은 흐른다. 명사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