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으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라 ㅣ 자음과모음 청소년인문 27
안나미 지음 / 자음과모음 / 2025년 1월
평점 :

안나미 (지음)/ 자음과모음(펴냄)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저자 이력인데, 한문학자라고 한다. 수학과 과학을 좋아하는 한문학 전공자라니!! 무려 10여 년의 방송작가 생활을 과감히 접고 한문학의 매력에 빠진 분!! 별자리, 천문학에 대한 책을 쓰셨고 내가 읽은 책으로는 《퇴근길 인문학 수업》이라는 책이 있다.
사람들은 수학이나 과학 하면 서양을 먼저 떠올린다. 우리의 문화에도 수학과 관련된 에피소드가 많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분은 독립운동가 이상설 선생님은 수학자였다는 사실, 사람들이 잘 모른다. 신동이자 천재였던 이상설 선생은 우리나라의 고대 수학을 근대로 변환하신 분이다. 한국 근대 수학 교육의 아버지라 불리신다!!
하늘을 숫자 1로 상징한 동양인, 양의 숫자인 1, 3, 5, 7, 9는 남성적인 의미로 2, 4, 6, 8, 10은 여성성의 상징이다. 고대 사람들은 숫자 하나하나에 온 우주가 담겨있다고 생각했다. 물론 오늘날과 같이 천문학적인 큰 수가 언급되는 시대가 아니었던 점도 있다. 마법의 숫자 배열 마방진, 백제 수도 부여의 도랑에서 발견된 구구단 목간, 중국 위나라 수학자 유휘간 주해낸 원주율. 무려 정 192각형을 만들어 내면서 그 값을 계산해낸 노력의 결과물이다. 피타고라스보타 먼저 태어난 구고법, 수학 교재로 사용된 구장산술, 국가 수학원을 만들기 위해 창안된 산법 교정소, 비운의 천재 수학자 김영 등 내가 미처 몰랐던 내용과 이미 알고 공개수업에서 몇 번 써먹었던 부분을 동시에 만나는 즐거움!!!
최초가 뭐 그리 중요한가. 잘 유지하고 보수하고 재해석하는 나라가 제일이라고 서양의 과학자가 말했다. (그분 누군지 이름은 안 쓰겠음)
나도 같은 생각이다. 그러나 최초가 누군지, 최초가 어느 나라인지, 혹은 최초가 어느 대륙인지 굳이 언급하는 이유는 최초가 생기기까지 그 문화권의 경계를 가늠해 보는데 상당한 의미가 있다. 물론 잘 지키고 발전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아프리카를 도륙해 쳐 먹고 그 문화재를 박물관으로 다 옮겨서 자기들 것처럼 전시하면서 심지어 관람료까지 받아먹는 영국이나 프랑스 등의 소위 선진국들에게.... 최초 따위 ㅎㅎㅎ돌려주지 않는 우리의 문화재들....
수학 그것은 무엇인가.... 청소년 시각에서 써 본 수학에 과한 가장 동양적인 이야기^^
수학이 쓰이지 않은 시대는 없다. 최근에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며 각종 첨단 과학 기술의 놀라운 성과를 보이는 것은 수학의 힘이다. 수 과학자들이야말로 가장 철학이 필요한 사람들 아닌가 생각하며 글을 닫는다. 좋아하는 수학이라 정말 흥미롭게 읽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