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나라 중국, 쩨쩨한 중국인 - 오해와 편견을 깨는 40년 인문학자의 종횡무진 중국 이야기
김영수 지음 / 바틀비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김영수 (지음)/ 바틀비 (펴냄)










북한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 나라 중국, 지리상 너무나 가까우면서 오해와 편견도 많은 나라 중 하나다. 그러고 보면 일본도 그렇다. 중국인 자녀를 과외한 적이 있는데 이들을 통해 중국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일단 중국인들은 세련된 성조, 중국 본토 사람보다 더 정확한 성조를 구사하는 외국인을 보면 거의 100% 마음을 연다고 한다. 혹시 마음을 열지 않더라고 상당히 존중해 준다고 들었다. 성조가 그만큼 어렵기도 하고, 정작 중국 본인들도 완벽 구사하지는 못한다는 사실. 그리고 또 하나는 대국 사상, 자기네들이 모든 것을 포섭하는 큰 배포를 가진 민족이라고 착각하고 있더라... 1992년 수교 이후에도 여러 가지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중국이다.







수천 년 우리와 국경을 맞대고 치열하게 싸우고 문화적으로 교류한 나라. 우리나라 내에서도 각 지역마다 사람들의 기질이 조금씩 다른데 그 넓은 중국 땅의 사람들... 자연환경 역사적 사건 음식습관은 너무나 천차만별일 것이다.



중국의 다양한 모습에 대한 많은 언급 페이지를 지나 중국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은 황허문명. 소멸되지 않고 살아남은 중국의 역사로 이어진 문명 이야기, 그리고 신화 이야기다. 그리스 로마 신화로 점철된 신화의 세계에서 중국의 신화란 나아가 동양 신화란.... 중국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는 없는 요리의 신을 믿는다고 하니 그들이 사용하지 않는 식재료는 없는 듯 ㅎㅎ

신화를 너무 좋아하는 1인으로써 중국 신화 연구자라는 위안커 이야기는 정말 흥미로운 챕터였다. 그리고 여러 인물들이 소개되었다. 책 제목의 '쩨쪠한'은 결국 복수에 관한 이야기였다. 어떤 복수가 좋은 복수인가? 굳이 복수란 걸 꼭 해야 한다면...

시대에 따라 복수관은 변하기도 했다.



우리가 세상의 중심이라는 중국의 중화사상, 중국인 본인들이 스스로 부르는 호칭 외에 진단, 지나, 거란, 새리사 등 다른 민족이 중국을 부르던 이름들. 그리고 중국의 수많은 소수민족에 대한 통계. 많음의 상징이 된 중국의 인구 14억. 책을 통해 독자들은 중국에 관한 오해와 편견에 대해 조금 인식을 달리할 수 있을까. 거의 모든 상품에 메이드 인 차이나,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다른 나라에 진출해 있는 나라, 어제 읽은 기사에서 외국인 노동자 혹은 다문화 관련 의료보험에 관해서 유일하게 적자를 보는 나라 중국... 대통령이 바뀐 미국 사회에서 수많은 정책이 중국을 겨냥하고 있다. 우리와도 첨예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중국에 대해 깊이 알고 이해해 보는 기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