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영화에서 길을 찾다 - 변화의 오늘 공존의 내일
고규대 지음 / 슬:B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고규대 지음/ 슬로우북 (펴냄)











단일민족 프레임, 배달의 민족 신화 등 오랫동안 이방인이라 부르며 배척했던 우리 문화, 성숙하지 못한 문화라고 말하는 분들이 있다. 이미 오래전 수많은 침략과 침입으로 끌려가서 당하고 이 자리에서 당해온 강간의 역사 이미 오래전 역사 속에서 우리는 다문화였다는 분도 계시다. 어느 쪽의 말이든 다 일리가 있다. 너무 많은 침입, 침략을 당하고 살다 보면 외국인의 존재만 봐도 치 떨리고 무서웠을 마음, 그래서 이방인이라고 부르며 하대하며 거리를 두었던 공포감도 이해는 된다. 그렇게 공동체의 생존을 위해 공동 가치로 연대하지 않았더라면 우리 민족이 과연 미래를 꿈꿀 수 있었을까 싶기도 하다. 다만 시대가 좀 달라졌으니 우리는 이제 좋든 나쁘든 함께 살아가야 한다. 이민족 간 이데올로기 갈등을 겪는 것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선진국이라 불리는 영국도 마찬가지다.







다문화에 대한 관심을 콘텐츠로 풀어나가는 저자.

해석 방법이 독특해서 관심이 생기는 책이다.






도시와 시골의 경계에서 많은 아이들을 만난다. 소위 다문화라 불리는 학생들, 그들에게 물어보면 '다문화'라는 단어 자체를 싫어한다. 이유를 물어보면 더 슬프다. 자신은 한국 땅에서 태어나 자랐고 어머니의 나라에 가본 적도 없는데 왜 이방인이냐고 묻는다...


영화 #완득이 를 기억한다. 원작 소설부터 인기 있었던 완득이...

가족결합권이 없는 E-9 비자, 한국에서 일해서 번 돈을 본국의 가족에 송금할 뿐 가족을 데려올 수는 없다. 그렇다면 가족 결합권이 허락된다면 이에 따라올 예산은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이주민에게 제공되는 복지의 혜택, 국민의 세금 외에도 정서의 문제. 문화적 충돌.





너와 나보다는 우리를 강조하는 한국 사회의 문화. 그렇다면 다문화에 대한 생각과 태도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 이민자의 정체성은 과연 모국과 이민국 모두에 두루 섞이면서 융합해야 하는가? 어느 한쪽에 치우치는 것은 나쁜가? 저자의 의견처럼 겉과 속이 다른 시선

예를 들면 속으로는 인종, 언어, 민족, 종교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으면서도 겉으로는 올바른 척, 깨어있는 척, 정치사상을 드러내는 사람들. 그것은 다문화뿐 아니라 소수자나 성차별 등 우리 사회 그 모든 이분법적인 사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는 생각이 든다.


다문화 2세가 겪는 정체성 혼란에 대한 영화 #덕구

한국인 핏줄을 강조하는 할아버지 VS 그리운 엄마, 이런 스토리는 영화가 아니라 현실이다. 결혼 후 가정 폭력 혹은 다양한 이유로 가정을 떠난 엄마들... 남겨진 아이들은 조부모의 손에 키워지기도 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사례가 있다.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그림자는 피부색에 상관없이 공평하다는 말은 뭉클한 감동이 전해온다.

- 〈러브 인 아시아〉 프로그램 중 한 아이의 말


제주도에 체류했던 난민들... 우리 사회가 처음으로 난민이라는 단어를 체감한 순간이었다. 이후 배우 정우성은 난민 홍보대사를 사임한다. 정치적인 견해로 자신을 오해하는 분들이 있다며... 그리고 수년이 또 흘렀으나 우리 사회는 별로 달라진 게 없다.





이방인에 대한 심리적 경계, 불법 체류 노동자 2세들의 문제,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필요성, 다문화 가정이 던지는 이 시대 여러 모습에 대한 질문을 콘텐츠로 대답하는 책이다. 오늘 방 정리를 하다가 무려 10년 전 종이신문 기사 스크랩을 발견했다. 기사 내용을 보면 무려 10년 전에도 우리 사회는 같은 고민을 했던 것 같다. 이제는 더 깊이 좀 더 현실적인 대안을 찾아야 할 미루지 말아야 할 우선 과제가 아닌가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