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에 읽는 재클린의 가르침 - 다시 태어나고 싶은 당신을 위한 지적인 대화
임하연 지음 / 블레어하우스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하연 (지음)/ 블레어하우스(펴냄)








'서른에 읽는'이라는 제목 굳이 서른이 아니어도 좋다. 서른을 준비하는 이십 대에게도, 서른을 이미 지나온 사십 대 독자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책이다.

재클린을 미국의 저술가이자 출판편집자로 아는 사람은 적다. 미국 제35대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영부인, 아름다운 모습으로만 기억하는 사람들.






대중들에게는 그들이 기억하고 싶은 모습으로 대상을 바라보는 욕망이 있다. 주로 공인들에게 이런 잣대를 갖다 대기 마련이다. 보이기 위한 삶이 아닌 자신을 위한 삶을 살고 싶었던 재클린

우리의 이십 대는 어떤가? 저자의 말처럼 절망을 증명하는 삶이었던가! 이십 대의 나는 그 성근 기억들마저 드문드문 잘려있다. 기억하고 싶은 것만 남기고 잘라버린 기억들.






책은 상속자와 학생 두 사람의 질문과 답으로 이어진다. 사회학에 관한 깊은 관심이 있었던 재클린, 그녀의 사회학은 수저 계급론을 부정한다.

국내 재벌 중 꽤 많은 사람들이 부모의 재산을 통해 부를 상속했기에 처음에는 재클린의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이 이해되지 않았다. 부유한 상속녀와는 거리가 먼 삶을 살았던 재클린.

책에서 제시하는 상속자 정신은 공평한 정신이다. 없는 사람은 당당하게, 가진 사람은 겸손하게 만드는 사상!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재산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우리에게 준, 혹은 선배들이 물려준 지적인 문화적인 그 모든 가치를 말한다. 단순히 경제적인 의미가 아니다.

재클린은 상속자 정신을 통해 당대 미국 사회와 시공간을 초월한 우리 독자들에게 불공정한 현실에서 당당히 살아내는 방법을 말해준다. 책은 재클린의 어린 시절부터 서술된다. 우리가 알던 재클린의 모습과 사뭇 다르다.






공정과 평등의 차이,

더 공정한 세상을 위해 지금 우리가 있는 자리를 먼저 꼼꼼히 다져보는 시간. 공정으로 포장된 공정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가난한 사람들은 그 능력 부족, 노력 부족을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이게 된다. 완벽한 공정이란 없다. 추구해나갈 뿐이다. 최근 우리 사회 이십 대들의 절망감, 부모보다 못 사는 최초의 세대라 불리는 N 포 세대들.... 그들에게 작은 희망을 전할 책이 되리라 생각한다.





당신과 나는 다른 전쟁터에 있지 않아요. 보이지 않던 것을 보게 되면 우리는 같은 싸움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겁니다 P310


비교하지 말고 내 삶을 가자. 행복은 외부에 있지 않고 내 안에 있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