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숭배하는 자들, 호모 피델리스
한민 지음 / 저녁달 / 2024년 11월
평점 :
한민 지음/ 저녁달 (펴냄)
사람은 왜 무속에 의지하고 신을 믿는가? 주술과 무속 종교가 지배하는 세상에 대한 통찰, 그러고 보면 인간이 지구상에 발자취를 남긴 이래로 늘 종교는 함께 했다. 종교는 어떻게 만들어져 왔는가? 종교는 인간의 상상력과 관련이 있다는 저자. 문화 및 사회심리학을 전공한 저자, 행동과학 연구소 소장, 전작인 〈문제적 캐릭터 심리 사전〉을 읽었는데 정말 재밌었다.
종교의 기원을 토테미즘에서 찾는 에밀 뒤르켐, 각 지역마다 고유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호랑이가 많이 사는 지역 사람들은 호랑이 신을 믿는 것과 같은 이치!
그렇다면 인구도 많지 않던 시절 거대 피라미드를 짓는 등 어마어마한 공사를 할 만큼 사람들은 움직이게 하는 힘은 뭘까. 전통 한국 사회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종교 밀집 시설 같은 것을 보면 신앙심만으로 이해하기 힘든 무엇이 존재한다. 욕망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종교.
인류 최초의 문명 이전, 신과 신화의 시대를 아우르는 힘은 무엇일까? 흥미로운 주제가 아닐 수 없다. 종교는 권력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봉기나 혁명의 도화선이 되기도 한다.
한국 고유의 문화 외에도 외국에서 유입된 종교가 한국의 문화와 섞이는 과정도 흥미롭다. 무당!! 한국 사회의 무당이란 어떤 존재인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많은 무당. 그 존재적인 이유를 찾는 과정도 재미있었다. 종교가 갖는 기능, 한국 사회의 토착종교 혹은 특수한 문화와 만나면서 변질된 모습 한국 기독교의 보수성과 정치와의 결합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한 책이다. 상당수의 목사가 북한을 중심으로 파급되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그러다 보니 보수성을 띨 수 있다는 생각도 처음 알았다. 한국 종교계의 문제점 통계 자료를 보면 종교계 자체의 부정부패와 집단 이기주의를 손꼽는다. 그러나 책은 그 부정적인 면만을 서술하지는 않는다. 앞으로 한국의 종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짚어준다. 첨단과학의 시대 인간에 의해 정복되지 않은 영역이 없다. 생명까지도 연구의 대상이 된다. 이제 종교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인간중심주의, 인간에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종교와 신은 다루기 어려운 주제다. 수많은 철학자, 인류학자, 문화학자, 역사학자 등 다양한 관점에서 그 본질을 다루기를 시도해왔다. 정답이 정해진 일이 아니다. 특정 종교에 기대지 않는 자유로운 관점에서 토론해 볼 만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