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 사회 생존법 - 불안정한 시대를 이해하고 평온함을 찾는 법
알랭 드 보통.인생학교 지음, 최민우 옮김 / 오렌지디 / 2024년 9월
평점 :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r/e/reekey77/rs2oVbnV4xExic68.jpeg)
알랭 드 보통 / 오렌지디(펴냄)
불안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현대인들에게 행복이란 무엇일까? 어제 2025대입 수능시험이 치러지는 것을 보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 잘못된 우리의 교육에 대해, 극단으로 치닫는 갈등 그 출발점에는 교육제도가 있다. 가만히 살펴보면 우리의 입시란 결국 가진 자들, 기득권이 자신들의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자녀들에게 세습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자 도구라는 것을 보여준다. 전 국민이 수능시험에 몸을 낮추고 숨을 죽이고 나는 비행기도 멈추게 할 만큼 위력적인 대한민국의 입시, 다들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면서 어쩔 수 없다로 묵인하는 날, 대입 수능일
단 하루 만에 인생이 바뀐다. 1등에서 52만 등까지 서열로 줄 세우는 것을 온 국민이 목도하고 침묵하는 날 너무 극단적인가.... 딱히 아니라고 말 못 할. 우리 시는 많은 아이들을 잃었다. 청소년 자살률 1위!! 며칠간 그 어린 죽음을 애도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여론은 이상한 반향으로 흘러간다. 그 아이가 너무 여려터졌다고....
현대 지성사를 이끈 수많은 인물이 세상에서 고립된 곳으로 물러나 은둔함으로써 혼곤과 거리를 두었던 것. 그리고 그곳에서 혼돈을 이해하고자 시도했던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p18
현대사회는 예술가들의 저항으로 유지되었다. 아름다움에 대한 일반적인 가치관을 뛰어넘는 인식이 필요했을 것이다. 이 책의 저자 알랭 드 보통 역시 그렇게 말한다. 우리의 자본주의는 인간 사회를 구성하는 욕구 단계마저 응용한다. 기본적인 욕구에서 고차원적 욕구까지 하나의 자원으로 보는 자본주의 사회 나아가 물질주의에 대해 알랭 드 보통이 제시하는 철학은 마냥 비판적이지만은 않다. 이 부분을 읽으며 생전 처음으로 단어 하나를 떠올렸다. 과연 철학적 소비란 가능한 것일까라는......
민주주의 사회를 잘 살아가는 영웅과 안내자에 대해 묘사한 부분에서 인플루언서들이 떠올랐다. 최근 sns 시장은 이들이 움직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들이 제시하는 삶의 가치란 과연 철학에 가까운가.
개인적으로 가장 재밌게 읽었던 챕터는 사랑 이야기다. 사랑의 철학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적어도 내게는) 알랭 드 보통의 사랑, 외로움에 대한 언급, 오히려 '고독'을 '원위치'로 돌리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는 그의 말에 공감한다^^
만약 우리가 능력과 자질이 뛰어난 사람만이 정상에 오를 자격이 있다고 믿는다면 이것을 반대로 밑바닥으로 떨어진 사람은 밑바닥에 있는 것이 당연하다고 믿는다는 의미다. p186
알랭 드 보통이 제시하는 현대사회 생존법은 무엇일까.... 내가 가진 의문을 100% 해소하진 못하더라도 스스로 해답에 이르게 하는 길을 제안하는 책이라 생각한다.
그의 책은 '현대 사회'에 건네는 '위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