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찰하는 기계 질문하는 리더 - AI 시대, 대체 불가능한 리더의 첫 번째 조건
변형균 지음 / 한빛비즈 / 2024년 7월
평점 :
변형균 (지음)/ 한빛비즈 (펴냄)
우리는 어떤 리더를 필요로 하는가? 이 시대에 꼭 필요한 인재상을 통찰해 보는 책이다. 수능을 코앞에 앞두고 과연 어떤 인재가 좋은 인재인지? 어떤 진로가 앞으로 우리 사회에 영향력을 줄 수 있을지 궁금해서 펼친 책이다.
새로운 관점, 새로운 눈의 필요성! 우리의 철학적 사유 혹은 가치관보다 훨씬 더 빠르게 변화하는 인공지능 시대의 삶이란. 그 여러 가지 대안 중에 특히, 과거의 경험을 구조화하라는 부분이 눈에 띈다. 모르고 간과하는 것이 아닌 이미 경험한 것을 다시 리뉴얼 하는 것. 내 삶에 재배치해 보는 방법의 중요성.
AI 사상을 이끌어 주는 배경들, 유발 하라리의 작품에서 만나는 호모 사피엔스의 재정의, 그리고 샘 울트먼이 추구하는 포용적 미래관, 제프리 힌튼의 연구, 데미스 허사비스 등이 언급하는 미래를 바라보는 관점들.
끝없이 예측을 강요당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 도구가 아닌 전략적 자산으로 보는 시각. 알고리즘은 과연 정당한가? 수많은 모순과 편견으로 가득 찬 인간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인공지능 CEO라니 정말 상상도 못 해본 일이지만 인간-로봇 공존의 본질을 아우르는 관점에서 도전과 기회로 가득하다.
제목이 주는 상징성이 크다. 기계들은 통찰하고 리더는 질문한다. 통찰이라는 단어가 어울릴지 모르겠지만, 기계들의 업무 수행 과정을 생각이라는 단어로 표현한다면? 질문의 역할은 더욱 중요할 것이다. AI 리터러시의 중요성, AI 언어와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가에 미래가 달려있다. 어떤 미래를 전망하는가 나아가 어떤 질문을 준비하는가와 연장선상에 있다. 질문은 결국 우리 스스로에게 던져야 한다. 첨단과학 대우주 시대 존재의 이유는 무엇인가? AI의 존재 이유는? 인간의 존재 이유는? 그 물음에 가장 현명하게 답하는 사람이 어쩌면 사회 변화를 가장 먼저 읽는 사람이 아닐까 생각한다.
경제, 경제 전망서라고 알고 펼친 책을 덮으며 다시 한번 철학의 가치를 깨닫게 해 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