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학 예찬 - 문학과 사회학의 대화
지그문트 바우만.리카르도 마체오 지음, 안규남 옮김 / 21세기문화원 / 2024년 9월
평점 :
지그문트 바우만(지음)/ 21세기문화원(펴냄)
내게 바우만은 평전으로 먼저 접하게 된 분. 이 시대 가장 뛰어난 사회학자라 불리는 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독일이 세계를 향해 그 광기를 부리던 시기 교수직을 잃고 국적마자 박탈당한 분, 당대 최고의 사회학자 바우만과 문학을 전공하고 출판사 편집자인 리카르도 마체오 두 분의 편지로 나눈 대화를 엮은 책이다. sns 시대 발 빠른 단톡이나 메신저가 아닌 서신을 통해 주고받은 깊은 사유. 문학과 예술은 사회학을 포함해서 우리 문화를 이루는 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문학과 사회학이 마치 샴쌍둥이라는 문장은 놀라웠다. 최근의 철학에서 반출생주의자들이 하는 말, 철학은 이미 소멸의 시대이므로 그 스스로 무덤을 찾는 중이니 더 이상 철학에 기댈 것이 없다. 따라사 자신만의 취미나 관심사를 향한 글쓰기를 해보라는 학자들. 글쎄, 학자들의 논쟁은 끝이 없으나 100% 틀린 말도 100% 맞는 말도 없는 것이다.
문학 예찬으로 책의 제목이 정해지는 과정, 학문 간의 경계선을 넘는 일은 쉽지 않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평소 바우만의 마르크스주의적 사회학, 홀로코스트에 대한 분석 액체 근대 사회론자로서의 깊이 있는 통찰. 기존에 바우만의 저서와 함께 읽으면 더 의미 있을 책이다. 시간은 선처럼 흐르는 것이 아니다. 마치 진자처럼 움직이면서 기존에 있었던 것이 사라졌음을 한참 후에 알게 된다고 한다.
어쩌면 오늘날 사회현상을 닮아있기도 하다. 인문학의 축소 현상이다. 수많은 지방대학들은 가장 먼저 철학, 사회학 등 인문계열의 학과를 없애거나 통합하고 그 자리에 과학 관련 학과를 신설했다. 심지어 먼 나라의 학생들을 데려와 그들의 등록금으로 부족한 수입을 채워 넣었다.
인문학이 사라지는 시대, 과연 우리는 과학의 부정적인 면모, 그 상처를 어루만질 수 있을까? 이런 담론이 없다면 아이들은 챗 gpt를 통해 인문학이나 철학을 배워야 할지도 모른다. 어쩌면 멀지 않은 미래의 모습일 수도 있다.
모성의 시대에 아버지 사회를 언급한 부분 가장 눈에 띄었다. 아버지 사회는 힘의 사회이자 독재의 향수라는. 라캉과 니체를 빗대어 묘사한 부분, 그들은 중개자가 사라지고 있다고 했지만 그들 스스로가 중개자로서의 진면모를 보여주었다. 고전문학 수탈 시대, 책 안 읽는 시대에 이 책에 언급되는 수많은 작가들, 위대한 서술, 저서들 꼭 찾아보고 싶다
많은 학자들이 문학과 사회학을 때로는 철학을 서로 다른 것으로 규정했다. 현대철학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방법이 다소 다르더라고 그 종착지가 다르더라도 요소들을 탐험하는 과정에서 가장 인간적인 모습이 드러난다는 것에 동의한다. 참된 인간으로서의 조건은 그 모든 장치들이 하나 될 때 그 과정에서 찾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바우만과 리카르도 마체오의 서신 교환은 철학을 닮았다.
문학 예찬이라는 제목만으로도 너무 좋지 아니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