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소크라테스 - 인공지능은 못하고 인간은 할 수 있는 철학적 질문들
이진우 지음 / 휴머니스트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I 시대의 소크라테스 』 질문의 중요성




이진우 (지음)/ 휴머니스트 (펴냄)








첨단과학 인공지능의 시대 '철학'이란 어떤 의미일까?

인류 역사를 바꾸어 놓을 조용한 혁명이라 불리는 AI 혁명의 시대다. 며칠 전 뉴스에서 본 딥페이크 관련 기사 너무 걱정스럽다. 연예인 뿌만 아니라 지인( 친구, 여교사 등)의 얼굴을 넣어서 음란물에 이용하는 사례들. 게다가 그런 범죄를 저지르는 것이 청소년이라는 사실이 너무 놀랍다. 아무런 죄의식 없이 장난이었다니 정말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과학 기술은 발달하지만 인간의 의식은 그에 따르지 못한다는 말이다. 학계에서도 이러한 성찰이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고 그래서 쓰인 책이다.


최근의 이런 철학이나 인문학 책들이 쏟아져 나오는 이유도 같다. 인공지능이 인류가 쌓아온 지식 정보를 뛰어넘을 것인가 말 것인가라는 고민을 하기 이전에 인간이 먼저 온 기술을 잘 적용하고 내 가치를 존중하며 가치로운 삶을 살 만한 철학이 있는가, 철학을 갖추었는지 그것을 먼저 고민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 저자는 이러한 패러다임이 급진적으로 흔들린 이유에 대해서 공진화, 기술의 소통 방식 그 자체가 흔들린 것 때문이라고 우려한다.


기존 기술들은 아무리 빨리 발달한다고 해도 우리 인간의 소통 방식 그 본질을 흔들어놓지는 않았지만, 최근의 챗 GPT 이후에는 인간만의 영역이 소통과 교감의 방식조차 의문이 들게끔 하는 일들이 발생하면서 그에 따른 철학적 전환도 급하게 요구된다는 목소리다. 동의되는 부분이다. 게다가 코로나 팬데믹을 겪은 인류에게 기술이란? '무엇을' '어떻게'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본질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이 열어준 세계, 질문이 돈이 되는 세상. 이제 계산을 하고 답을 쓰는 일을 넘어 '무엇을' 질문할 것인가? '어떻게' 질문할 것인지에 대한 목소리가 요구된다.


극단적인 예로 영화 《그녀》가 보여주는 의미는, 인간이 사람에게서 가 아닌 기계를 통해 얻는 교감과 위안에 대한 성찰, 이미 2013년 나온 영화라니 놀랍다. 그 외에도 많은 영화를 예로 들 수 있다.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가? 인간다움이란 무엇인지 책은 묻는다. 소크라테스의 이름을 빌려 저자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결국 질문의 힘이다. 그렇다면 다시 본질로 돌아가서 왜 우리 인간에게 인공지능이 필요한가? 왜라는 질문과 진심으로 마주하고 직면해야 할 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