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머제스틱 극장에 빛이 쏟아지면
매튜 퀵 지음, 박산호 옮김 / 미디어창비 / 2024년 7월
평점 :
『머제스틱 극장에 빛이 쏟아지면』 휴머니즘이라는 기적.......

매튜 퀵 장편소설/ 창비(펴냄)
기적이 존재할까? 바꿔 물으면 신은 존재하는가라는 질문과 같을지도 모른다. 오직 휴머니즘뿐이라는 생각이 많이 드는 요즘이다 ㅠㅠ ( 이것은 서평용 문장이다. 사실 나는 신을 믿는다. 믿어왔고 앞으로도 아마 계속 믿을 것이다....)
죽을 만큼 아프고 나면 세상은 전과 달리 보인다. 나는 그렇다...
총기 난사 사건에 크게 민감하지 않은 우리나라, 오히려 남의 이야기 같다고 느끼시는 분들이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제목 자체가 은유적이라서 이미 그 큰 의미 담고 있다. 누구에게나 비극이다. 자신이 왜 죽는지도 모른 채로 살해당한 피해자와 그걸 지켜본 생존자,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유족에게도 이보다 더 비극적인 일이 있을까 싶을 만큼 삶은 비극이다. 그런데 이 소설에서는 하나 더!!!!!! 가장 중요한 그러나 사람들이 흔히 간과하는 것을 녹여낸 점 감동이다. 가해자의 가족에 대해.... 참으로 조심스러운 언급이 아닐 수 없다. 일반적으로 우리 사회에서 가해자 가족은 가해자와 동급이다. 가해자 = 가해자의 가족= 죽일 놈 .........
"모든 사람의 내면에는 살인자가 있어요" p 299
읽는 순간 쿵!!!! 심장이 내려앉는 기분이었다. 이 문장이 답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당신에게도 당신만의 상처와 악마가 있다고 말했던 기억이 나요. 모든 치유자는 처음에 상처받은 사람이었다고요. 그들의 목표는 그 고통을 감당하는 것이고,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그 고통을 의미 있게 만드는 것이라고요. 그러다 보면 고통이 스스로 치유된다고 했죠. 고통을 의미 있게 만드세요 p252
서간문 형식의 소설...
손 편지 쓰는 것을 좋아한다. 늘 손 편지를 써왔다. 최근에는 주로 학생들이나 학부형들께 쓴 것 같다. 답장에 오지 않는 편지를 반복해서 쓰는 행위가 얼마나 아픈 일인지 써 본 사람만 알 것이다.... 그러나 쓰는 것만으로 '치유'가 되는 일도 있다. 편지라도 쓰지 않으면 견딜 수 없는 고통, 그런 의미에서 주인공 칼의 마음을 너무나 잘 알 것 같았다.
영웅과 악마!!!
이분법적인 세상에 신물이 난다. 심한 장염을 앓고 나서인지 여전히 이분법적인 세상에 구토가 올라온다.
덧. 이번 학기 연수내내 강사님은 카를 융을 언급하셨다. 관심도 없던 융이 좋아지는 경험
강사님이 추천해 주신 융의 책들을 읽는 중인데 이 소설에서 만나니 무척 반가운 마음!!!
이 뜨겁던 여름도 그리울 날이 있을까...... 몸과 마음으로 앓았던 여름앓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