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 너머의 세계 - 의식은 어디에서 생기고 우리는 어떻게 자유로워지는가
에릭 호엘 지음, 윤혜영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7월
평점 :
『세계 너머의 세계』

에릭 호엘 (지음)/ 흐름출판 (펴냄)
사물은 존재하고 나는 느낀다는....
우리가 사는 세계는 두 가지 관점이 있다. 메커니즘과 물리학적인 관점. 서로 다른 차원을 말하는 듯한 두 관점은 끝없이 충돌해왔다. 두 가지 관점을 비교하고 들여다보는 작업은 제대로 되지 않았다. 이런 관점의 조화가 바로 의식 과학이 하는 일이다. 고대인들은 마음 이론을 활용했다. 고대인들을 문헌에서 찾아보면 실제로 정신생활보다는 외재적인 부분에 관심이 많았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된다. 이유는 뭘까? 내 생각에는 단순히 사냥하고 채집하는 등 당장 먹고살기가 급급해서 아니었을까 싶다. 신경과학을 전공한 저자가 의식 과학의 영역에 관심을 가지다? 책을 읽기 전에 이 분야는 약간의 유사과학으로 비과학적인 것이 아닌가 하는 편견? 을 갖고 있었다.
책은 내재적 관점, 외재적 관점이 발달하는 과정을 서술한다.
그리고 신경과학이 발달하게 된 과정을 묘사한다. 신경과학자들은 그저 통계에 의존할 뿐인가? 신경과학의 빗나간 목표를 점진적 관점과 혁명적 관점으로 비교하는데 저자는 신경과학의 문제점은 뇌의 일부만 깊이 살핀다는 점이라고 말한다. 신경과학, 뇌과학 대세인 요즘 이런 주장은 내게 무척 충격이다. 그렇다면 의식은 왜 그리 무시되어 왔을까? 의식 이론은 과거 100년 전부터 사라질 위기에 있었다. 과학 시대의 도래....
우주를 인식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에 과학을 연구하게 되었다는 저자.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과학 연구가 끝날 무렵 우주를 인식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는 저자.
다시 책 뒷면의 질문으로 가서 과연 현대 과학은 의식의 진실을 밝혀낼 수 있을까?.... 의식이라는 세계가 모호하고 주관적인 것이기에 이것을 이성이 지배하는 과학으로 설명할 수 있단 말인가... 내가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여기까지다. 일종의 정신 언어라는 의식!! 자유의지.... 영적인 영역에 대한 설명은 감히 내가 가닿을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분야 책을 좀 더 많이 읽어봐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여전히 수많은 과학자들이 논쟁하는 영역이다. 앞으로가 더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