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사랑을 모른다 - 에리히 프롬에게 배우는 사랑의 심리학
스즈키 쇼 지음, 이지현 옮김 / 알토북스 / 2024년 7월
평점 :

스즈키 쇼 (지음)/ 알토북스(펴냄)
사랑은 에리히 프롬에게 너무 잘 어울리는 말이다^^
책의 저자는 정신분석학 교수이자 에리히 프롬, 프로이트, 융 등을 전문적으로 연구하신 권위자, 심리학 저서들을 일본어로 번역하여 전달하신 분이다. 무려 1956년에 집필된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기술 은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사랑에도 기술이 필요한가라는 역설적이면서 단순한 질문을 남기는 책. 사랑이 화두가 아니었던 시절이 있었을까?!!!! N 포의 시대, 결혼하지 않고 아이 낳지 않는 시대 혹은 따돌림, 가정 폭력, 관계 집착 폭력( 소위 데이트 폭력), 은둔형 외톨이, sns 폭력, 스토킹, 이상 동기 범죄 ( 소위 묻지 마 살인) 등 다양한 범죄들이 끊이지 않는 요즘이다.
에리히 프롬은 누군가를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은 축복이라 말한다. 이 한 문장에 많은 의미가 담여있다. 사랑의 본질이 퇴색하는 시대는 불과 에리히 프롬이 태어난 독일 사회만의 현실은 아닐 것이다. 프롬은 이런 문제의 원인이 '사랑에 대한 오해'에 있다고 말한다. 단순 성행위를 즐기는 것= 사랑이라는 착각...... 단순히 경제적인 원인이 결혼을 회피하게 되는 걸까라는 질문 등등
시대가 변함에 따라 저자는 동성애 독자들도 고려하여 책을 썼다. 책은 정신분석학의 입장에서 사랑에 대한 여러 유형을 철저히 분석한다. 사랑에 대한 유형이라기보다는 사랑이라는 착각이라는 표현이 맞을듯ㅠㅠ 사랑받고 싶은 마음은 있으되 사랑이 주는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 시대. 사랑에 담긴 큰 힘은 무엇인지 책은 말한다. 무엇보다 좋았던 점은 에리히 프롬에 대해 내가 이전에 알았던 지식을 좀 더 자세히 업그레이드하는 느낌이 들었다.
주체적으로 사랑할 수 있을까?
정신적 사랑은 성숙한 사랑, 이런 사랑은 돌로도 쪼개지지 않는다라고 한다.
서로를 존중하는 사랑, 누구를 위한 사랑인지 명확히 생각해야 한다. 프롬이 언급한 사랑은 무려 60년 전의 사랑이다. 사회가 너무나 많이 달라졌음에도 불과하고 여전히 유효한 시점이 그대로 유지된다. 오히려 현대 사회에 더 필요한 문장이 아닌가 싶다. 사랑에 대해 내가 알던 인식을 흔들어놓는 책!!
지금 사랑하는 당신, 앞으로 사랑할 당신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