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학이 차린 밥상 - 소설로 맛보는 음식 인문학 여행
정혜경 지음 / 드루 / 2024년 6월
평점 :
소설로 맛보는 음식 인문학 여행 『문학이 차린 밥상』

정혜경 (지음)/ 드루 (펴냄)
한국문학의 위대한 작품들!!! 요즘 읽고 있는 박경리 선생님의 #토지 , 그리고 내가 꼭 읽어보리라 마음먹고 있는 최명희 선생의 #혼불 경상도와 전라도를 대표하는 내 인생 책!! 한국 문학의 위대한 작가 두 분의 작품 언급에 눈물 날 만큼 반가운 순간이다. 물론 3, 4, 5 챕터에 심훈의 상록수, 이상의 문학 작품, 판소리 다섯 마당에는 《춘형전》 《심청전》 《흥보전》 《토끼전》 《적벽가》 등의 고전소설도 언급된다.
문학은 현실을 반영하고 재현하는 예술 장르다. 특히 의식주 문화생활은 문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국인의 음식 문화를 살피기 위해 문학 작품을 살펴보는 과정 정말 매력적인 책이다. 음식 하면 전라도인데, 전라도 특유의 향토음식문화가 많이 사라져서 안타깝다. 혼불의 장 담그는 장면, 장독대의 풍경, 전통 놀이 속 세시 풍속 음식, 가을 정취가 담긴 국화주, 돌잔치 풍경의 돌상 음식들, 깎아놓은 대추와 밤도 신비롭게만 느껴진다. 소설 토지에서는 국권 수탈의 과정 속에서 다양한 식재료로 간단한 음식을 해먹는 풍경. 내가 현재 1권을 읽고 있는데 주로 서민들의 음식이 많이 언급되었다, 지금 기억나는 것은 김치를 보시기에 담아내어왔다 이런 문장, 서민들에게는 잔칫날 혹은 책 서두 부분에 추석이었는데 추석날 먹는 특별식 외에 별 음식이랄 게 없었다. 아마도 토지를 다 읽고 나서 이 책을 다시 읽으면 더 많은 것들이 눈에 들어오지 않을까 기대된다.
한식에는 혼, 미, 향, 한, 반, 정 등 맛깔스러운 우리 음식을 문학 속에서 만나는 기쁨!!! 토끼전 등 고전에서 만나는 음식 또한 신비롭다. 심청전에서는 인당수의 고사 장면에서 음식들이 다양하게 언급된다. 책의 수록 사진에서 소개되는 음식들은 정말 정갈하고 또 먹음직스럽다
소설 상록수 배경 역시 일제 강점기, 이 책의 매력은 소설에 대하 소개를 자세히 하면서 소설 속 묘사된 음식 문화를 다룬다는 점이다. 소설을 아직 읽어보지 않은 분들에게는 배경지식이 되고, 이미 읽으신 분들에게는 소설 속 음식 문화를 상기시키는 추억 여행이 될 것이다. 지금 토지를 함께 읽는 친구들에게 이 책을 추천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