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 인생론 - 삶이 너의 꿈을 속일지라도
헤르만 헤세 지음, 송동윤 옮김 / 스타북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론』 불안의 시대, 헤세가 전하는 메시지란.....






헤르만 헤세(지음)/ 스타북스(펴냄)









헤르만 헤세 그는 누구인가? 너무 유명한 작가라 설명이 필요 없는 분이지만, 그에 대해 모르는 것도 많다. 목사의 아들, 신학계 집안의 어머니 밑에 태어나 라틴어 학교에 입학하여 공부하고 우수한 성적으로 신학교에 들어갔다. 그러나 예민한 그가 신학교의 생활에 적응하기는 힘들었을 것 같다. 속박되고 권위적인 억압된 분위기를 견디지 못한 헤르만 헤세는 자살을 시도하게 된다.... 오늘날 우리 지역에는 많은 학생들이 스스로 삶을 중단했다 ㅠㅠ 너무 아픈 일이다. 남은 학생들의 수능을 위해 덮어버리고 쉬쉬하는 죽음, 만약 그들에게 헤르만 헤세의 삶을 전했더라면?..... 질풍노도의 청소년 시절을 보낸 헤르만 헤세!! 방황하는 소설 속의 주인공은 바로 그 자신이 아니었던가!!!







최근의 학생 자살 사고를 접할 때 나는 왜 헤르만 헤세가 떠올랐을까...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펼친 책이다. 데미안의 작가, 그가 쓴 소설을 다 쓰기도 어려울 만큼 많은 작품을 남겼다. 1946년 노벨문학상 수상작으로 《유리알 유희》는 중학교 국어 시간에 처음 만났다. 당시 내게 유리알 유희의 소설 일부는 상당히 독특한 느낌으로 다가왔는데...






1914년 전 세계가 전쟁의 공포에 떨 때, 헤르만 헤세는 독일 국민들에게 평화를 호소하는 글을 발표하게 된다. 평화를 사랑했던 헤세로써는 당연한 일 아니었을까? 이후 독일 국민들에게 손절당하고 그는 스위스로 건너가 전쟁 포로 구호소에서 일을 도왔다. 그에게는 많은 시련이 한꺼번에 닥치는데...







헤세는 젊은이들에게 많은 메시지를 전한다. 영혼에 대해, 언어에 대해, 독서와 인생에 대해, 그리고 우정에 대해서도 말한다. 짧은 산문이자 아포리즘으로 이어지는 문장들은 헤세의 소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아집과 순종이라는 텍스트에서는 전쟁을 반대하고 관조적으로 바라보는 헤세만의 시각이 느껴진다. 또한 헤세는 니체를 자신의 문학 전반에 가져온다. 자라투스트라가 헤세의 시대에 왔더라면? 과연 어떤 말을 전했을지 가정하면서 강한 어조로 말한다. 또한 그는 도스토옙스키를 논하는데, 그를 예언자라고까지 말한다. 평론의 기회가 있을 때마다 신앙에 대한 기록을 쓰고, 서정적이고 향토적인 작품이 아니라 구원적인 글을 남긴다. 그는 카를 융을 실제로 만났고 그의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인지 헤세의 글은 일반 작가들과 매우 다르다. 그의 작품은 그만의 철학을 담았다.







한 사람 한 사람의 길을 자신에게로 향하는 길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누구나 자기 자신이 되려고 노력한다.




자연을 사랑하고 소박한 것에도 사랑을 느낄 줄 아는 작가,

헤르만 헤세 인생론 40대가 되자 도시를 떠나 평생 정원을 가꾸며 살아간다. 은둔 생활을 좋아하는 작가이자 시인이었던 헤르만 헤세, 그의 삶에 고난과 좌절은 많았으나 그는 끝까지 자신 삶의 주인으로써 현대의 우리에게도 삶의 진정한 가치를 알려준다. 방황하는 영혼들에게 특히 청소년 독자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