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정원 - 자연이 그랬어, 마음을 보라고
한성주 지음 / 북코리아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이 그랬어, 마음을 보라고 『마음 정원』






한성주(지음)/ 북코리아(펴냄)







우리가 작가 한성주를 만나기까지 그녀에 대한 많은 편견이 있었다. 지적인 이미지의 미스코리아 한성주 그녀가 작가로 우뚝 서기까지. 커리어 우먼의 삶, 원예 치료, 미혼모의 아이를 돌봐주는 위탁모, 각종 사회봉사활동 기간이 무려 20년....





사람들은 과정에는 관심이 없다. 오직 결과만 있을 뿐.

단 한 번의 실수가 용납되지 않는 연예인의 삶, 원예치료 힐링 북이라니 의외였다.





저자는 책 서문에서 헤르만 헤세의 삶을 예로 들었다. 최근에 헤르만 헤세가 대세이기도 하지만, 저자가 헤세를 무척 좋아하고 그의 문학을 깊이 파고들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저자가 함양이라는 시골에서 어린 시절 1년을 보낸 것도 의외였다. 너무 도회적인 이미지의 저자이기 때문이다. 특히 위탁모 일을 한 적이 있었던 저자의 일화는 놀라웠다.





동물에 비해 식물은 사람 운신의 폭이 넓다. 심지어 식물은 죽음의 과정에서도 사람에게 위해를 가하지 않는다 ㅠㅠ

잃어버린 나를 찾고 자신을 바로 보는 법!!

객관적 시선 즉 손님의 시선으로 자신을 보는 법!





끊임없이 감정 노트를 쓰고 자신을 들여다보는 일의 중요성! 위대한 인물이 되기 전에 먼저 자기 자신에 되어야 한다.

무언가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 그것이 세상이 묻는 폭력적인 질문에 대한 답이 아닌 내가 결정권을 가지는 질문이다. 선입견과 주홍 글씨를 버린 사회!! 한성주가 꿈꾸는 사회이기도 하다. 너무 좋은 문장들, 힘이 되는 단어가 많았다. 필사해 봐도 좋을 책이다. 지금 마음이 힘든 당신에게 추천하고 싶다. 힐링은 일상을 떠나 굳이 거창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지금 앉은 자리에서도 가능하다.





원예나 원예 치료는 상처받은 사람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다는 저자의 메시지가 와닿는다. 책의 제목이 마음정원인 것도....





책에서 인상적인 부분은 저자의 선입견 혹은 주홍 글씨에 대한 사유였다.

정작 저자를 선입견으로 바라본 것은 우리 독자들이 아닌가 생각한다. 사람은 저마다 각자의 몫이 있는데 우리는 연예인에 대한 과도한 관심으로 가끔 그들을 코너에 몰아넣는다. 적당한 거리가 필요하다. 가까운 사람일수록 더욱 그렇다. 근데 그게 말처럼 쉽지 않다. 예술가가 되지는 못해도 우리는 예술적인 삶을 살 수 있다. 작가가 되지 못해도 이렇게 꾸준히 리뷰를 쓸 수 있는 것처럼....

저자의 문체는 담백하다. 이것 또한 나의 편견에서 시작된다. 뭔가 가슴 뭉클한 혹은 구구절절 아픈 이야기들이 나올 거라는 예상? 과 달리 정말 심리학에 대해 사람의 마음과 그 치유의 방법에 대해 저자가 먼저 걸었던 길, 전공의 특수성으로 방법을 제시하는 책이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