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잃어버린 대지 - 간도, 찾아야 할 우리 땅
오세영 지음 / 델피노 / 2024년 6월
평점 :

오세영 역사소설/ 델피노(펴냄)
오세영 작가님은 내겐 역사 전문 소설가로 각인되어 있다. 오래전 전작인 #베니스의개성상인 을 최근에 개정판으로 나는 접했다^^ 이후 자산어보를 소설화하는 작업, 화랑서유기, 콜럼버스와 신대륙 발견 등의 소설도 전부 역사와 관련된 이야기다.
흩어진 기록을 모으는 일, 작가적 상상력으로 역사의 빈칸에 옷을 입히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이런 일은 꼭 필요한 작업이지만 누구나 쉽게 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독일로 유학 온 윤성욱 그는 우연히 김정호의 문서를 하나 발견하게 되는데...
청나라 황실의 발흥지, 최한기가 김정호를 부른 이유, 대원군과의 은밀한 회동 등 소설은 시점을 조선과 현재로 오가며 서술된다.
예전에 읽은 책에서도 느꼈지만 저자는 식민주의적 사관을 배척하고 일제강점기 일본에서 배워온 사학자들이 독점하는 우리 사학계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본다. 낙랑군의 위니를 어디로 설정하는가에 따라 동북공정이 묵인되는 꼴이다. 그들의 주장은 이것이다. 우리 주장만 너무 내세우다 보면 외교 분쟁만 더 일으키게 된다는 얘기다. 가만 생각해 보면 우선 눈앞에 사안에서 우리 정부가 이익을 쥐게 되고 그러면 차기 대권에서 유리할지는 몰라도 먼 미래를 생각하면 마냥 양보할 수는 없는 국제 문제다. 남북통일에 대비해 중국이 판을 까는 것으로 보는 관점, 그렇다면 그에 대비하는 것 또한 우리 몫이다.
고대사 연구재단을 배경으로 고조선의 위치를 어디로 볼 것인가? 대동강 유역인가? 요동지역인가? 소설의 배경은 다시 조선시대로 이동한다. 중국도 그냥 보고만 있을 리 없다.
간도는 어떤 곳인가? 윤동주 시인의 고향, 황석영 작가도 만주국에서 태어났다. 이외에도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조국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그 귀한 피를 흘리신 곳!!! 어린이 동요의 가사도 떠오른다. "만주벌판 달려라 광개토 대왕!!!~~~~" 간도는 분명 고조선, 고구려, 발해 우리 민족의 무대였다. 1909년 일본과 청나라 사이의 #간도협약 은 우리 주권이 맺은 협약이 아니다 ㅠㅠ
분명 첨예한 역사적 대립을 소재로 하지만 소설은 장르물 같은 긴장감과 스릴감을 동시에 준다. 오세영 작가만의 매력이기도 하다. 읽는 내내 소설의 배경인 백두산과 만주를 다니는 기분이었다. 언제 한 번 밟아볼 수 있을까? 윤성욱은 과연 김정호의 변방고를 찾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