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에겐 12척의 배가 있나이다 - 하
최인 지음 / 글여울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중일기를 소설의 형식으로 서술한 『신에겐 12척의 배가 있나이다 1, 2』







최 인 장편소설/ 글여울 (펴냄)






먼저, 책의 저자는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 이후 여러 편의 소설을 출간하셨는데 이번에 처음 알았다.

시대가 변하면 위인전의 목록도 조금씩 달라진다. 꽤 오래전의 위인전을 보고 깜짝 놀란 적이 있다. 위인이라고 생각지 않는 그 인물이 들어가 있었다. 공과과를 잘 판단하여 공이 많으면 위인이 되는 건가? 위인이란 보편적인 이로움을 준 분을 상징하는 것 아닐까? 누군가에게는 배고픔을 해결해 준 구원자이자 리더인데 또 어느 쪽에서는 독재자로 각인된 인물..... 공이 많다 하더라도, 국민들의 가슴에 치명적인 상처를 준 허물이 있다면 그 사람을 위인이래 봐야 할지 나는 늘 의문이다.





내가 말하는 보편성에 해당하는 분은 세종대왕, 이순신 장군일 것이다. 어느 세대를 막론하고 한국 사람 그 누구에게 물어도 한 치의 망설임 없이 대답할 수 있는 이름!!!! 이순신 장군... 이런 위대한 해군 제독, 장군, 리더, 지도자가 우리 조선에 있었다니 정말 자랑스러운 일이다.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는 이전에 읽어 본 적이 있다. 한 권으로 된 책이었다. 이번에 만난 책은 1, 2로 되어 분량이 제법 많은 편, 소설 형식을 빌려와 난중일기를 서술한다.




임진년 1592년으로 시작되는 책의 첫 장면. 이때 이순신 장군의 춘추 48세

당대에는 왕실 제사, (예를 들면 명종의 정비 인순왕후 심 씨의 제사 등)가 있는 날에는 공무 수행을 멈추었나 보다. 여진족에게 끌려가서 죽임을 당한 예화의 부모. 이순신 장군은 이 아이를 데려다가 글도 가르치고 의술과 침술도 가르치신 모양이다. 물론 실제 기록에는 없는 인물이다.


병선이 제대로 수리되지 않자, 관련 군관과 색리들을 꾸짖고 곤장을 친다. 정량궁 (큰활)로 활을 쏘고 귀선(거북선)의 상태를 돌아보고 찾아오는 사람들을 맞이하고 장군의 하루는 참 다사다난하다. 규율을 어긴 병사들에게는 엄중하고 성실히 제 소임을 다하는 노비들에게는 유하신 분이다. 상과 형벌에 대한 고민은 일기의 문장에서도 느껴진다. 난중일기 내내 흐르는 정서는 어머니에 대한 애틋한 마음이다. 어머니를 걱정하는 구절이 많았다.



2권은 을미년 1595년에서 시작된다. 3우러 3일 장군의 생일에 미역국과 쌀밥으로 간소하게 먹었다는 문장. 생일을 찾아먹기에는 나라가 너무 위급한 상황이라고 말씀하신다. 조정에 아는 사람이 없으면 출세하지 못하는 세상, 지금이라고 다를까.....



명나라는 사람을 쓸 때 무엇을 아는가를 먼저 봅니다. 왜국도 그 사람이 무엇을 잘 하는지를 우선으로 칩니다. 하나 조선은 그와 다릅니다 2권 p123





난중일기를 읽어보면 매일의 날씨가 상세하고, 예를 들어 삼짇날이면 아침으로 떡을 드셨다든지 이런 디테일, 전쟁을 앞둔 병사들의 일과뿐 아니라 일반 백성들의 모습도 유추해 볼 수 있다. 장군의 관점에서 보는 관리들의 모습, 비밀 공문의 내용까지 기록하셨다. 난민과 노비들 폭도들이 궁궐을 불태우는 장면 등 이렇게 귀한 사료를 남기시다니 정말 위인이 아닐 수 없다. 책은 무술년 1598년 음력 11월 19일 장군의 죽음으로 끝났다.





책 후반에 한시 중 36편은 저자가 지은 시라고 한다. 두 권의 소설은 기존에 알던 장군 이순신의 이미지에서 좀 벗어난 인간적인 면모를 볼 수 있었다.


상상속 인물, 예화와 이순신의 사랑은 처음 접해보는 부분이다. 선조와 이순신의 갈등, 원균과 이순신 그리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이순신의 전략 전술에 대해 상세히 서술되어 있다. 역사적 사실과 작가의 상상력으로 쓰인 소설, 이순신을 더욱 이해하고 역사적 사실의 세밀한 부분을 상상해 보고 유추해 보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신에겐12척의배가있나이다, #최인장편소설,

#글여울, #난중일기, #세계4대해전,

#노량해전, #한산도대첩, #전란의기록,

#이순신전기문, #조선역사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