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젠더를 바꾼다는 것 - 트랜스젠더 모델 먼로 버그도프의 목소리
먼로 버그도프 지음, 송섬별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5월
평점 :

머로 버그도프 (지음)/ 북하우스 (펴냄)
타임지 선정한 이 시대의 멘토!!! 흑인, 여성, 소수자라는 틀을 갈아엎은 분!!! 젠더의 권리를 널리 알린 방송인이자, 모델, 유엔 여성기구 홍보대사, 올해의 체인지 메이커, 영국판 #보그 객원 편집자 등 다 적기도 벅찰 많은 수식어의 주인공!!!
미국 사회에서 흑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여전히 벽 앞에 서 있는 것과 같은가!!!!
트랜스젠더: 사회적 성과 생물학적 성별이 일치하지 않는 사람들...
나는 그냥 소수자라고 불렀을 뿐, 그 다양성에 대해서도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사실 관심조차 없었다....
트랜지션 하는 것, 선언하는 것은 나를 바꾸는 일이 아닌, 바로잡는 것이라는 저자. 트랜지션이란 보이지 않는 것과 실체적인 것을 일치하도록 만드는 일, 진실이 수면 위로 드러나는 일이다. P13
이미 어린 시절부터 느꼈던 단절감과 불편감, 학교는 보호의 장소가 아니라는 것을 너무 어릴 대 알아버렸다. 이 파트를 읽으며 사회적 시선이 사람들의 무차별적인 시선이 사람을 망치기도 하는구나!! 싶은 안타까움이 들었다. 가정에서도 학교에서도 사랑받지 못하는 아이는 결국 스스로 문제아가 되어버렸다. 자연스러운 순서인지도 ㅠㅠ 수많은 청소년 LGBT가 자살시도를 했다는 통계가 있다. 유교적인 문화의 우리나라에서는 더욱 심각하지 않을까!
대학에 입학한 후에 여성으로 모습을 바꾼다. 아니 저자 표현에 의해면 바꾸는 게 아닌 원래대로 되돌리는 일이다. 그의 모습이 내내 행복해 보이지 않았다. 세상의 모든 폭력에 혼자 맞서 싸우는 느낌, 그걸 혼자서 감당해 내고 있었다. 그게 마음 아팠다.
미세 차별이라는 말을 책을 통해 처음 알았다.
만약 그가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면? 그는 어떻게 살게 되었을까? 어떤 정체성은 분명히 존재하는 대로 없던 것이 되어 버린다.
세상을 바꾸기 위한 용기, 원래대로 되돌려 놓기 위한 용기를 존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