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혼
배명훈 지음 / 북하우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배명훈 「청혼」 11년전 SF를 다시 소환한! 덕후가 읽는 SF






북하우스(펴냄)






옛날 지구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사는 근미래 소설, 물론 지구인들이 생각하는 그런 우주는 아니었다. 우주 출신자인 화자가 지구의 연인에게 보내는 편지.... 소설은 일관되게 말하는 방식으로 서술된다. 소설에서 묘사되는 지구인들의 아이러니는 대단하다. 지구에 나타난 정체불명의 우주 함선. 소설은 우주 함선의 등장을 밀도 있게 묘사한다. 그러고 보니 왜 우주선은 배로 묘사되는 걸까? 우리는 흔히 우주를 항해하는 어쩌고 이런 방식으로 서술하는데 최근 완독한 칼 세이건 선생님의 〈코스모스〉에서 내가 갖는 의문과 똑같은 문장이 언급된다.





아! 최애 장르 SF.....

감찰군, 궤도 연합 사령부로 묘사되는 지도부. 참모장, 감찰 군 대원수 VS 반란군으로 묘사되는 구도.



외계로부터 날아온 문명은 늘 부정적으로 묘사된다. 정체불명의 존재가 우주를 건너 다가올 때 사람들은 항복하거나, 달아나거나, 아니면 지구와 함께 끝까지 싸운다..... 내가 읽은 어떤 SF에도 비슷한 형식.



그냥 사랑하는 게 아니고 내가 날아온 거리만큼 그 지긋지긋한 우주 공간만큼 사랑하는 거라고. 그래서 너를 한자리에 매어두고 싶다고 P37






책에는 흥미로운 용어들이 많이 언급된다. 루시퍼 입자, 버글러 기동, 시간의 저편


그리고 배명훈 작가의 작품들을 다수 읽었는데 그는 화성에 간다는 전제를 좋아하는 듯하다 ㅎㅎ 11년 전 쓴 소설이 다시 출간되었다. 화성에 가는 우주선에 어떤 직업군의 사람들을 태울 것인가라는 질문을 종종 던지곤 했다. 책에 묘사된 것처럼 아무래도 전문직 직업군의 사람들이 필요하지 않을까?





마치 무한한 우주에 대한 대화를 들려주는 듯한 이 소설은 편하게 읽힌다. 왜 소설이 우주 함대와 지구인의 싸움이 아닌, 마치 없는 존재와의 싸움처럼 느껴졌을까? 적은 밖에 있는 것 같았지만... 결국 공공의 적은 우주밖에 있지 않고 우리 지구인들이 서로의 적 아니었을까... 우주는 외롭고 고독하다. 우주전쟁이라는 소재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조합인 로맨스.... 사랑 이야기일 거라고 생각했으나 마냥 로맨스라고 말할 수도 없는. 대부분의 SF가 그렇듯 캄캄한 우주에 나 혼자인듯한 느낌. 이름도 없는 화자들이 더욱 애틋하게 느껴진다. SF를 좋아하다 보니 늘 우주를 생각한다. 우주에 머물러 있으면 인간사, 세상 이야기가 몹시 사소하게 느껴진다.






우리는 평상시에도 깊고 깊은 우주에 침몰되어 있다.

창문도 하나 없는 잠수함 같은 우주에....




소설 속 등장인물들이 궁금해한다. 과연 우주 너머에 무엇이 있을까. 나도 궁금하다. SF 대세 시대 나처럼 SF 덕후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SF 일어나지 않는 미래 이야기라서 좋아한다....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