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처, 문화로 쓴 세계사 - 하버드대 마틴 푸크너의 인류 문화 오디세이
마틴 푸크너 지음, 허진 옮김 / 어크로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화의 교류와 차용을 통해 본 숨 막히는 세계 문화사 오디세이 『컬처 문화로 쓴 세계사』






마틴 푸크너 (지음)/ 어크로스(펴냄)








인류 문화란 무엇인가? 문화는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는 게 좋을까? 아직도 양진영의 관점에서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분들이 많다.

민족 고유의 전통문화 우리 것을 잘 지키자, 문화적 보수주의 VS 외래문화를 적극 수용하자, 문화 혁신주의 두 단어는 이미 그 자체로 결함이 있다. 혼자 세상에 뚝 떨어진 존재는 없다. 문화도 마찬가지다. 홀로 빛나는 문화는 없다. 문화는 그 자체로 이미 흘러간다. 갇혀있지 않다. 하버드 대학 영문학과 비교문학 교수인 저자님. 책을 관통하는 메시지를 리뷰 서두에 먼저 적어보면 문화는 소유자가 없으며, 우리는 다만 물려줄 뿐이라고 말한다.






문화를 한 민족만의 자산으로 본다면, 외부 민족은 침입자, 점유자, 도둑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다. 문화는 접촉을 통해 결합되고 깨진 문화는 조각조각 이어 붙임으로써 혁신을 이끌어내기도 한다.



인간의 의미를 만드는 곳은 동굴!! 책은 기원전 3만 5000년경 쇼베동굴에서 시작된다. 수많은 동물이 드나들던 이곳은 입구가 막힌 채로 보존되었다. 동굴벽화를 검색해 보면 정말 놀랍다. 동굴 깊은 곳에 인간이 남겨놓은 흔적을 통해 저장, 상실, 복원이라는 상호 작용에 초점을 맞추면서 문화를 이야기한다. 저장과 복원을 언급하다 보면 첨단 과학 기술의 시대인 요즘, 과거 문화를 상당히 잘 보존하는 것 같지만 다 그런 것은 아니다. 오래된 카세트테이프, LP 판이나 비디오테이프를 한 번 들고 보려면? 글쎄 시도조차 못해본다. 기술이 풍성해지면서 오래된 파일 형식, 데이터, 웹 사이트를 읽을 수 없는 속도도 함께 빨라졌다.






책이 전하는 열다섯 꼭지는 흥미롭다. 각 챕터가 하나의 문화로 빛나며 개별 문화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었다. 에스_세누시 발굴단이 출토한 기원전 1351년 무렵의 네페르티티 흉상, 공연 문화 기반 속에 살던 그리스인들 당시에는 가장 강력한 매체였던 연극을 반대한 플라톤. 모의 현실에 대한 그의 비판은 1998년 영화 〈트루먼 쇼〉의 충격으로 나타나다. (하!! 이 영화 내 인생 영화 중 한 편인데 ㅋㅋ) 이 챕터 마지막에 저자의 우려, 최근 페이스북이 메타버스를 실현하는 것을 언급했는데, 이미 메타버스는 수년이 지났으나 크게 작용하지는 못하고 있다. 물론 더 지켜봐야 알겠지만.




아소카왕과 폼페이의 여신 언급 좀 훌쩍 건너뛰어서 생도맹그와 파리 살롱 계몽주의까지 언급되는 부분도 무척 흥미롭게 읽었다. 한 챕터마다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문화를 다루고 있고 내가 미처 숙지하지 못한 부분은 검색해가며 정독했다. 나는 보통 의심하면서 읽는 편^^ 서양 작가들이 책의 서두에서 문화 다양성을 전제로 할 때 그 의도를 파악하려고 무척 노력하는 편이다. 백인 남성 서양인 교수 작가가 바라보는 동양, 이 책에서 비서구 문화권으로 중국, 일본, 아프리카, 아즈텍 등이 각각 하나의 챕터로 언급되어 있다. 중국과 일본 황제가 서로 재치를 겨루는 일화 소개하면서 이 챕터의 결말에서 문화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어디에서 처음 발견되었는지, 원조라는 지나치게 강조하지 말자는 언급이 눈에 띈다. 물론 맞는 말이다. 본래 어디서 나왔는지 보다는 그것을 가지고 무엇을 하느냐가 중요하다는데 그것도 옳은 말이다. 근데 불편한 마음. 문화에 소유자는 없다 다만 다음 세대에 잘 물려주면 된다는 문장과 뒤에 나오는 아즈텍이 스페인에 의해 처참히 파괴되는 모습을 상호 대조적으로 보면서 몹시 씁쓸했다. 과연 해당 민족이라면 이렇게 묘사했을까.... 나는 멕시코 본토 민족도 아니지만, 멕시코시티 3문화 광장에 쓰인 문장이 참 안타깝다.





이는 대 침략, 강탈로 점철된 우리들의 버킷리스트 죽기 전에 가보고 싶은 위대한 유럽 박물관, 미술관들. 프랑스가 강탈해간 혹은 돈으로 사간? 우리 문화재를 반환하지 않으며 했던 말도 떠오른다. 누가 만들었는지 보다는 잘 간수하고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아직 돌려주지 않는 우리 문화유산들. 프랑스는 아프리카에 대해서도 비슷한 말을 했고 마크롱 때인가 뭐 아무튼 아프리카 베냉 문화재를 도둑질해간 것을 반환한 것이 엄청 인류평화적인 일로 보도되었던 일,( 직지는 왜 안 돌려주는데? 돌려줘라!! 넘들!!! ) 이 책을 읽으며 이런 불편한 장면들이 급 떠오른다. 그렇다. 원조나 최초 이런 것보다는 뺏어가든지 강탈하던지 돈으로 사 가던지 아무튼 그 문화를 가져가서 잘 활용하여 오늘날 잘 보관하는 것, 새롭게 콘텐츠 화해서 사람들의 편의 제공에 도움이 된다면 그게 더 낫다는? 뭐 마침내는 그렇게 귀결되는 서양의 인류 평화적인 세계적인 관점에 또 한 번 감탄한다.




위대한 대항해 시대여! 개척이라 쓰고 내겐 늘 침략과 강탈, 당도 살인, 강간으로 읽히는? 중국의 동북공정도 살짝 떠오른다.




중국이 발명한 인쇄는 국제 무역 덕분에 구텐베르크가 개선한 형태로 인쇄기를 써본 적 없는 아시아 지역에 전해졌다. P299

아! 위대한 서양 인쇄술 발명에 만세!!



책 어디에도 조선 언급은 없고 (에필로그에 한류 언급이 되긴된다)일본이 자주 언급, 두 챕터가 일본 관련인데,

매개자를 통해 유럽과 미국에 유입된 아시아 예술은 서양 예술에 파괴적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이러한 인물들이 만들어낸 모더니즘은 뒤죽박죽이었지만 매우 현대적이고 아주 매혹적이었다 P383

아!






아! 할 말 많은데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여기서 리뷰를 닫아야 할 듯싶다.

문화는 '고유성'과 '다양성' 양 수레바퀴를 함께 밀고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원조나 최초만을 고집해서는 안 되지만 무시할 수도 없다. 최초라는 아집과 고집이 아니라 기억하고 감사하며 앞으로 더 나아가기 위한 마음이다. 어차피 우리는 우주적 관점에서 우주먼지들!! 다문화의 시대 내 나라 내 민족만 강조하는 태도를 경계해야 하지만 문화에 대한 한층 더 열린 마음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 책이 많은 것을 알려주었다. 리뷰를 마치고 촘촘히 행간을 다시 살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