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역사 - 우리가 몰랐던 제도 밖의 이야기
세라 놋 지음, 이진옥 옮김 / 나무옆의자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라 놋 (지음)/ 나무옆의자(펴냄)




책 소개 글에서 정희진 교수님이 인간의 역사는 곧 엄마의 역사이고, 인간의 조건은 곧 엄마의 조건임을 보여주는 책. 이것이 진실이다. 울지 말고 읽도록..."이라는 소개 글에서 이미 눈물이 나고 말았다. 평균 일곱 여덟 명의 아이를 낳기 위해 10번 정도는 임신을 하였고 수명이 짧았던 그 시대 평균 10년은 배가 불러서 자궁을 압박하는 상태로 살았던 여자들, 아기는 엄마의 생살을 찢고 세상에 나오니 10번 살을 찢긴 여자들, 출산의 고통은 인간이 감당할 수 있는 고통 중 거의 극한의 고통이라는데 그 고통을 열 번 혹은 그 이상 이겨냈던 여자들. 그런 여자들의 삶은 어떠했을까..... 최근에 비혼도 많고 결혼을 해도 아이를 낳지 않으며 혹은 한 명 정도 출산하는 요즘의 사고로 이 책을 대하면 안 될 것 같다. 1900년대가 되어서야 의학 용어로 태동이라는 단어가 등장했고 생리통, 산후 우울증이라는 단어가 등장. 단어가 있기 전에 이미 태초부터 여자들은 한 달에 한 번 피를 흘렸다.







책이 조망하는 여자 되기, 엄마 되기.....

위의 단어들이 마침내 탄생하기 훨씬 전부터 섹스에 대한 온갖 언어들이 책에 기록되었다. 월경하는 여자들은 불경하다는 죄로 갇히기도 했다. 책은 과거의 많은 문화들이 여성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극명하게 보여준다. 그 옛날 잘나고 똑똑하고 신분 높은 남자들이 만든 법의 말이 맞는다면, 우리들은 모두 마녀의 딸 혹은 아들들이다.............. 심지어 그런 법과 문화를 만든 남자들조차 마녀의 아들들 아닌가!!!! 여성의 자궁 혹은 시험관아기 등등처럼 자궁과 유사 환경을 거치지 않고 태어난 존재가 있는가?








모성의 역사를 에세이 형식으로 쓴 저자는 말한다.

세상의 모든 역사는 남자들이 기록했다. 그들이 전쟁을 하고 승리한 자 중심으로 역사를 기록할 때, 여성들은 그들의 아이를 낳아 기르고 입히고 먹이고 전쟁터에서 돌아오는 남편을 기다리고 남편의 피 묻은 옷을 빨거나 혹은 장렬히 전사한 주검 앞에서 울었을 것이다. 이 책의 특징은 페미니즘적 차원의 접근이 아닌 문화 차원의 접근 서적이다.



모성 이론, 모성 프레임이란 무엇인가 생각해 보게 된다. 각 인종별로 시대별로 다양한 모성의 사례들을 역사를 만날 수 있었다. 이런 소재는 수면 위로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이다. 우리나라처럼 여성 지위가 높은 나라가 세상 어디에 있으며? 남자아이들이 역차별 받는다고 나의 지인이 '광분'하며 말했다. 심지어 내게 전교조에게 잘못 배운 세대라고 말했다. 그분에게 말해주고 싶었다. 이것은 너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이고, 네 엄마 혹은 너의 누나나 이모 혹은 앞으로 태어날 너의 소중한 딸의 이야기인데 왜 화를 내는 거냐고...



우리의 헌법은 1950년대에 만들어졌다. 아직도 50년대 프레임에 머물러 있는 점이 많다. 만약 법이 그렇지 않다 한들 우리 사회 문화는 여전히 그대로인 부분이 많다. 세계 여성의 날은 인류의 절반을 위한 날이다. 인류의 절반은 불과 몇 십 년 전까지도 매 맞으며 배우지 못하고 살림 밑천이라는 용어로 남동생, 오빠의 학비를 대기 위해 하루 12시간 머리를 처박고 일하는 공순이가 되었다. 그런 시절이 있었음을 잊지 말았으면 좋겠다. 아직도 지구 반대편에서는 조혼으로 팔려가는 여자아이들이 있다. 그리고 가난한 집 여자아이를 사는 남자들은 말한다. 여성을 보호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