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인경 - 어지러운 세상을 살아가는 소인의 큰 지혜
인문연구모임 문이원 지음 / 문헌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영희 외 지음/ 문헌재 (펴냄)














어지러운 세상을 살아가면서 어떤 삶이 옳은지, 과연 정의는 있기나 한 것인지 묻고 싶은 요즘이다. 그냥 나로서 살아가기, 무려 1500년 전 중국 역사의 난세 중에서도 난세라 불리는 오대십국 시대를 배경으로 무려 20여 년간 재상의 자리에 있으면서 장락로 풍도의 열 명의 군주를 모신 삶의 지혜와 처세술에 관한 이야기다.




인문도서 연구모임인 문이원에서 지난 6년간 이 책 〈소인 경〉공부하고 해석한 결과물로 세상에 나온 책이다. 전란의 시대를 상상해 보면 목숨을 부지하는 것이 최선책!! 살아있는 생명이 죽은 자의 명예보다 중요하다는!! 삶과 죽음에 대해 그가 남긴 글을 보면, 소박한 차림새로 관에 들어가겠다는 문장에서 그의 됨됨이를 알 수 있었다. 더 놀라운 것은 제사에 대해서 언급한 부분이다. 살아있는 것을 죽여서 죽은 자를 위해 제사 지내지 말라고 한 것!!










장락 로라는 그의 호는 때로는 한 권을 펼치고, 때로는 술 한 잔을 마시며, 별난 소리와 온갖 빛깔을 다 맛보니 오늘날 세상에서 편안하게 늙었다 하겠구나! 오래도록 즐기다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한다. 그가 재상의 자리를 지킬 수 있었던 비결은 뭘까? 성난 군주를 에둘러 표현하고 설득한 점은 구만의 대화술이라고 할 수 있겠다.






두루두루 통하는 법 얽매이지 않되 누구에게도 원한을 사지 않는 성정, 단시 이름에 지나지 않는 가치는 과감히 버릴 것, 출세하고 명예를 지킨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도 그는 출세하고 싶으면 다만 목적에 집중하라고 말한다. 높은 직위에 도달하게 되면 대부분은 목적성을 잃는다. 나라도 그럴지도 모른다ㅎ 원래의 가치 즉, 초심을 잃는 사람이 너무 많다. 물론 평가는 시대에 따라 뒤바뀔 수 있다. 본질을 잃지 않되 형식은 충분히 바꿀 수 있다는 책의 많은 덕목이 1000년의 세월을 거슬러 우리 현대인들에게도 소중한 가치를 전해 준다.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