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전쟁인가?
프레데리크 그로 지음, 허보미 옮김 / 책세상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레데리크 그로(지음)/ 책세상(펴냄)










전쟁이란 무엇인가...........





죽은 자 만이 전쟁의 끝을 본다고 하고, 전쟁은 승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멸로 끝날 뿐이라는 전쟁! 오늘 뉴스에서 가자 지구의 어린이 10명이 기아로 굶어죽었다는 기사를 보았다. 첨단과학의 시대 굻어죽다니 하! 어른들의 전쟁에 얼마나 더 많은 아이들이 죽어야, 그 목숨 값으로 도대체 그들은 무엇을 얻는 걸까? 최근 읽은 세계대전사에서도 같은 감정을 느꼈다. 전쟁이 일어나서는 안되기 때문에 전쟁사를 읽는다. 잊지 않으려고!!!



프랑스 철학자인 저자는 미셸 푸코의 사상을 깊이 연구한 분이다.

우크라이나 vs 러시아 전쟁이 벌써 2주년이라고 한다. 이렇게까지 길어질 줄 몰랐던 전쟁. 아니 전쟁 초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향해 진격해 갈 때조차도 유럽은 전쟁을 믿지 않았다. 첨단과학 21세기에 주권국가를 침범하는 유혈 전쟁이라니!!! 누가 상상을 했겠는가? 도대체 유엔의 기능은 무엇인가? 제재만이 답인가? 무기를 팔아먹으면서 침묵으로 방관하는 서방세계, 그리고 연이어 터진 하마스 vs 이스라엘 전쟁......



미&영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 성공 그리고 독일 항복으로 결말지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또다시 전쟁이 일어날 거라고 믿지 않았다. 제국주의는 전체주의로 변했고 오늘날에는 무엇으로 변질되었는가? 다시 고개를 쳐드는 파시즘, 국수주의......... 과연 정의로운 전쟁이란 존재하는가?



국가는 전쟁을 만들고 전쟁은 국가를 만든다.

전쟁을 치르는데 가장 필요한 것은 막대한 전쟁자금이다 ㅠㅠ 우크라이나 전쟁에 드는 천문학적 비용에 놀란 적이 있다. 죽음을 위한 비용이 아닌가?!!!! 다른 표현이 뭐 있을까?....

저자 역시 죽음에 관해 이런 문장을 썼다.



전쟁의 경우, 죽음은 매우 특수한 형태를 띤다. 전쟁에서의 죽음은 규범화된 교환, 심지어 '의례화된 교환이라고까지 부를 수 있는, 일종의 교환 행위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전쟁의 두 주체는 특수한 교전 수칙에 따라, 정해진 공간 안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서로 충돌한다. 히로시마나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폭탄 공격도 전쟁을 끝내기 위한 목적이 아니었다면 전쟁범죄에 해당된다. 물론 목적을 떠나 그 많은 민간인을 살상했으니 전쟁범죄는 맞다.



책은 전쟁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전방위적으로 서술한다. 매 챕터의 담긴 저자의 인문학적 통찰이 놀라웠지만, 특히 마지막 장은 큰 울림을 주었다. 내가 늘 궁금한 질문이었다. 전쟁은 도대체 왜 하는지? 누구를 위한 전쟁인지!! 이 포괄적인 질문에 저자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대답해 주었다. 자세한 내용은 책에서 만나보셔야 한다! 샤르트르, 홉스, 헤겔까지 언급한다. 전쟁의 답을 철학에서 찾는 저자의 혜안은 전쟁은 단순화하지 않고 선과 악으로 이분법 하지도 않는다. 인간 본성의 처절한 심리를 깊이 있게 통찰하고 파고드는 경험이 전쟁을 멈추게 한다고 생각한다.



#왜전쟁인가, #프레데리크그로, #책세상,

#전쟁학, #전쟁에관한통찰, #인문학, #철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