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관계를 돌봄이라 부를 때 - 영 케어러와 홈 닥터, 각자도생 사회에서 상호의존의 세계를 상상하다
조기현.홍종원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기현×홍종인 (지음)/ 한겨레 (펴냄)








영원히 늙지 않을 것처럼, 영원히 죽지 않을 것처럼 살아가는 사람들. 뉴스나 신문기사를 통해 만나는 모습들은 이기적인 사회 그 자체다. 돌봄 청년 커뮤니티 n 인분의 대표 조기현 저자. 스무 살 때 아버지가 쓰러진 이후 젊은 보호자가 되었다. 또 한 분의 저자는 처방전 너머 돌보는 관계의 중요성을 고민하는 실천하는 의사 홍종인 저자님이다. 두 분 이름을 언급하는 이유는 책을 통해 알게 되었지만, 이렇게 몸소 실천한 인사이트를 나누는 분들을 좋아한다.



책 서문을 읽으며 왜 그리 눈물이 나던지! 아직 건강하신 부모님, 딱히 내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닌데도 묘한 공감이!! 공감지수 상위 1%인 INFJ라서 그런 걸까 잠시 생각해 보다가 아니 그건 아닐 거야, 의사에 대한 불신감. 과외를 하던 학생들 중 의대나 한의대에 간 학생들, 그들 부모들도 의사였다. 좋은 분들도 많았지만. 대놓고 환자를 돈으로 환산하는 분들도 있었다. 당장 수술을 하면 나을 병인데 자기 병원에는 수술이 불가능하니까 그냥 통원치료만 해도 된다고 붙잡아 놓고 몇 달 시간을 끄는 의사도 있다. 의사 자체에 대한 불신보다 이 사회의 공권력 + 가진 자들에 대한 분노가 없다고 말할 수 없다.



돌봄 하면 여성의 이미지가 떠오른다. 사실 돌봄에는 얼마나 많은 육체적인 힘이 필요한가?!!! 거동하지 못하는 환자를 일으키고, 세우고, 씻기고 이동시키고 등등..... 돌봄의 개념이 제대로 서 있는가에 대한 생각도 든다. 책에서 저자는 육아도 넓은 의미의 돌봄이라고 하는데 정말 맞는 말이다.



돌봄은 가깝게는 아픈 사람, 노인, 장애인, 어린이, 친구를 챙기는 일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우리가 모르는 누군가, 타인을 우리가 이해하고 관계 맺는 일까지 포함하는 행위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요 p29



책은 두 저자의 대담으로 서술된다. 간혹 이렇게 대담집을 만나게 되는데 그냥 줄글보다는 훨씬 설득력 있게 느껴진다.



두 분의 일상에서 겪은 생생한 경험담, 돌봄에 대한 우리 사회 전반의 문제, 가족을 돌보는 분들의 체험담, 그리고 가장 중요한 문제 앞으로의 방향성까지 제시하는 부분!! 책을 읽으며 들었던 생각은, 지금은 내가 부모님이든 누구든 당장 돌봄의 당사자가 아니지만 머지않아 그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는 점이다. 죽음 언젠가 한 번은 겪는다!!



송파 세 모녀 사건 등 복지의 사각에서 일어나는 각종 사건 이후 우리 사회는 얼마나 달라졌는가? 여전히 사각지대에서 신음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린다. 복지를 악용하는 자들이 많아서? 혹은 지금 당장 나 먹고살기도 바쁜데 또 무슨 복지? 등 경제적인 이유로 이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다. 이런 이유로 한겨레 책들을 읽는다. 당장 콘텐츠화 되고 돈이 되는 출판이 아니라, 사회 가장 낮은 곳의 목소리를 듣는 출판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