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없다 - 이태원 참사가 우리에게 남긴 이야기
정혜승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혜승(지음)/ 메디치(펴냄)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만 한 것이 아니다.


집단이 겪은 기억은 하나의 역사가 된다. 집단이 기억하는 한 그들의 역사는 승자에 의해 무릎꿇리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잊는 순간 역사는 승자의 것이 되고 만다는 생각이다. 위안부 할머니들의 일도 광주항쟁도 제주 43민주화운동도 그렇다. 집단이 기억하는 힘은 무섭고 그 힘은 세다.



10월 29일 그날, 이태원에서 우리는 꽃 같은 젊은 목숨을 얼마나 잃었는가? 낳으라고만 하지말고 이미 태어난 목숨들이 잘 살아갈 수 있는 나라가 되기를... 이미 태어나 있는 아이들이 그 무엇으로부터 학대당하지 않고 잘 자라주기를, 이미 늘어난 다문화 가정 아이들이 건강하게 잘 자라기를 그런 고민을 해야한다. 정부가!!!!


왜 거기 갔냐고 물을 것이 아니라

왜 돌아오지 못했냐고 묻는다.



각 챕터의 제목 하나하나가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정부의 존재 이류를 물어보고 싶다. 뉴욕타임스는 기사에서 '확실히 막을 수 있는" 일이라고 썼다...... 누가 책임을 지고 옷 벗는 꼴을 보자는 얘기가 아니다. 정부가 국민의 안전에 얼마큼 관심을 가지는지, 참사는 한순간이다. 눈 떠보니 선진국이라고 멀쩡해야 할 다리가 무너지고, 아파트와 백화점이 무너져 내렸다. 얼마나 더 많이 죽어야 달라질까?!!!!



기자 출신 이혜승 작가는 전 현직 공무원과 참사 유가족, 분야 전문가 등 을 인터뷰했다. 그날의 현장에서 비참함과 분노를 느끼며 이 글을 시작되었다. 무엇보다 주권을 가진 국민들을 위로하기 위해 썼다는 이 책!!



피해자들의 고통은 그 눈물을 닦아줄 책임지는 정부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내가 잘 될 거라는 확신이 있어야 움직인다는 고위 공무원들, 그들은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4대강이든, 창조경제든, 디지털 뉴딜이든 슬로건에 맞는 성과를 척척 만들어내왔다. 검찰 정부는 적을 찾는다라는 문장의 인상 깊다. 안전에 대한 고민은 왜 아랫사람의 몫인가? 외교란 무엇인가? 이태원 참사 이후에도 수많은 죽음이 이어졌다. 산업현장에서 교실에서 군대에서 우리는 젊은 목숨을 잃었다. 팬데믹 이후 경제 대책은 무엇일까? 추모비는 왜 세워지지 못하는 건가? 묻고 싶다... 협치와 소통 없는 정부를 국민들은 심판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