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이후의 철학
시노하라 마사타케 지음, 최승현 옮김 / 이비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노하라 마사타케(지음)/ 최승현(옮김)/ 이비출판사










인간 이전이 없으니, 인간 이후도 없다. 철학은 해석하는 학문이기에!!!

책의 제목은 인간이 멸망한 세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역자의 말처럼 인간이 존재하기 이전 그리고 인간 소멸 이후의 사유를 말한다.






한 세계가 붕괴되고 있다는 느낌은 세계 핫토필에서만 접하는 일이 아니다. 멀쩡히 길가던 청년이 도로 한복판에서 일면식도 없는 사람의 칼에 찔리고, 돌아가신 아버지의 빚을 감당하지 못한 모녀가 아파트 관리비를 유서와 함께 놓아둔 채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세계다. 일용직 노동자 A, B, C의 죽음에는 아무도 관심이 없다(내 알 바 아니기 때문에). 수도 서울의 D 동네에서는 두 달에 한두 명꼴로 학생이 뛰어내리거나 아니면 과도한 경쟁을 견디지 못한 학생 어머니가 뛰어내린다(집값 내릴까 봐, 학군에 해를 줄까 봐 쉬쉬하느라 이런 건 기사에 나오지도 않는다), 부모의 과도한 관심과 경제적인 지원을 부담스러워 스스로 생을 마치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정부에서 주는 급식카드를 들고 식당 주인의 눈치가 보여 편의점에서 삼각김밥으로 한 끼를 때우는 아이가 내 주변에도 몇 명 있다. 일일이 다 적자면 이 페이지를 넘기고도 남음직한 멸망 이전의 현상들......


철학의 부재다. 중세 이후로 신학은 그 맥을 잇지 못하고 뒤처져서 과학의 뒤를 따라기지만, 철학은 다르다. 철학자들은 늘 과학보다 앞섰다. 니체를 보라. 양자역학의 최전선에 있는 과학자들이 주장하기 훨씬 이전에 니체는 '관점'을 언급했던, '보는 것'을 언급했던 위대한 천재였다. 이후의 철학자들은 대부분 니체를 흉내 내고 있다. 아니면 니체를 반박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존재감을 세울 뿐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

나의 고등학교에는 문예부와 미술부가 강했다. 문예부에 들어가기 위해서 시를 심사 받았는데, 국어 샘과 선배들에게 통과를 받아야 합격되는 방식이었다. 1학년 입학 한 달 후 2학년 선배들이 나를 데리러 왔다. 야! 신 ○○ 문예부로 와라!! 나는 문예부에 들어가지 않았다. (선배들의 시건방진 태도가 마음에 안 들었다 ㅎㅎㅎㅎ 지금 생각해 보면 내가 가장 시건방적인 후배였음 ㅋㅋㅋㅋ)



만 15세, 고등학교 1학기를 마치고 시노트 한 권 분량 정도의 시를 쓴 나는 시인이신 국어 샘께 노트를 들고 갔다. "샘, 제 시 좀 봐주세요^^ "샘은 난감한 표정을 지으시면서도 읽어보시고 간단히 평가해 주셨다. 또 그 무렵 시노트를 우리 학교 문예반 리더이자 청소년 문학 대횐가 뭔가에서 대상을 받았던 내 절친의 친구 시 좀 쓴다는 박 양에게 들고 갔다. 다음날 박 양이 내게 직접 말하지도 않고 내 친구 편으로 전한 감상평 .......


"너의 시는 지극히 포스트모더니즘적이야."



나는 화가 났다. 그렇게 열심히 쓴 시를 단 한 줄로 평가한 것이 화난 것이 아니라, 내가 포스트모더니즘이 뭔지 모른다는 사실이었다. 물론 지금도 나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뭔지 모르겠고, 포스트모더니즘적이라는 말은 더 모르겠다. 내가 철학 책을 읽는 이유다. 읽으니 재밌다. 책의 여러 장르 중 철학에 가장 애정을 쏟는다. 읽다 모르면 용어가 나오면 유튜브든 뭐든 검색해 본다. 그리고 막힌 부분부터 다시 읽는다. 잠을 줄여가며 며칠을 이 책 두 권과 함께 했다.







세계는 독립을 기조로 삼는다. 사물도 인간도 세계에서 독립적이다. 저자는 '인간은 인간을 벗어난 세계에 살고 있다'라는 그레이엄 하먼의 논문에서 영감을 얻었다. 인간의 척도를 넘어선 거대한 것의 일부네 불과하다는 차크라바르티의 사유, 세계 형성의 원리에서는 가브리엘과 메이 야수의 사유, 인류세를 철학적 관점에서 본 서양의 현대 철학자들과 일본의 현대 철학자들 예술가들을 가로지르며 주장을 펼친다.


가브리엘, 메이 야수, 티머시 모턴, 그레이엄 하먼, 한나 아렌트와 들뢰즈, 차크라바르티에 이르는 서양의 철학에 오히려 관심이 있었으나 일본 철학자들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해본다. 일본에서 철학이 발달했다고? 그렇다면 왜 철학인가?라는 의문과 함께!!!







인간은 이 세계가 '인간'으로만 구성되어 있다고 착각한다. '인간이 가장 우위에 있다'라는 착각, 그 위선을 완전히 내려놓을 때 이미 철학 하는 인간이 되어 있을 것이다.


덧. 입문서를 잘 선택해야 한다. 입문서가 너무 가벼워서도 반대로 너무 이해하기 힘들어서도 안된다는 생각이다. 그렇다면 이 책!!!!



다섯 가지 주제로 읽는 현대 철학. 정의, 타자, 자유의지, 의식, 신실재론 등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철학자들의 사유가 궁금하다면 《현대철학의 최전선》을 읽어보시길.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