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의식의 뇌과학 - 나조차 이해할 수 없는 나를 설명하는 뇌의 숨겨진 작동 원리
엘리에저 J. 스턴버그 지음, 조성숙 옮김, 박문호 감수 / 다산초당 / 2025년 9월
평점 :
"무의식은 뇌의 일부가 아니라 거의 모든 것이다"
무의식은 우리가 인식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데 필요한 감정, 기억, 판단등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무의식이 우리의 일상생활과 의사결정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가
"기억은 우리라는 사람을 결정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한다.
우리의 개인사는 우리의 자아상을 만들고 저장된 지식을 모은다.
무의식계는 기억을 암호화하면서 우리의 인격도 형성한다.
무의식은 비디오카메라처럼 경험을 있는 그대로 담지 않는다.
대신 무의식은 그 이야기에서 우리 자신이 맡은 역할에,
우리가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에 집중한다.
그러다 어느 순간이 오면 우리가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그 순간의 감정은 무엇인지, 무엇을 기대하고 두려워하는지,
그 순간이 우리에게 무슨 ‘의미’인
지에 대한 맥락이 생겨난다.
그리고 그 맥락을 바탕으로 뇌는 초고를 쓰기 시작한다."
무의식을 이해하는 것이
개인의 자기 인식과 성장에 얼마나 중요한가
결국엔 무의식은 습관으로 이어지고
꾸준함과 노력으로 자동화된 습관으로 만들 수 있다.
"우리가 꾸는 꿈은 대개 기억과 생각, 감정으로
누빈 퀄트 이불이다. 꿈에는 흔히 낮 동안 있었던 일과
고민, 걱정, 바람이 추상적으로 반영된다.
대다수의 꿈은 굼을 꾸는 장본인에게 익숙한
여러가지가 하나로 합쳐진 것이다."
나는 왜 이렇게 느끼고 행동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가장 매혹적인 답을 찾게 해줌으로써
무의식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자기 이해와 성장에 큰 도움을 주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