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만 해방 - 가짜 허기에 중독된 두뇌를 리셋하다
데이비드 A. 케슬러 지음, 이충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5년 8월
평점 :
정말 배고파서 먹고 있는가?
초가공 식품은 생물학적 시스템을 고장 냈고
비만은 이제 우리 몸의 기본값이 되었다!
체중은 아주 오랫동안 수수께끼에 싸여 있었다.
왜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체중이 늘어날까?
체중을 줄이기는 왜 어려울까?
줄이는 데 성공하더라도,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왜 불가능한 일처럼 느껴질까?
우리가 왜 멈출 수 없는지,
단순한 의지의 문제가 아닌
뇌와 신경의 구조적 문제라고 말해준다.
비만도 장애의 관점으로 보고 치료하며
해결책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저칼로리, 상대적 고단백질, 저지방, 저탄수화물로 이루어진
이 식단은 나의 혈당량 곡선을 평평하게 만드는데 도움이 되었다.
혈당량 곡선이 평평해지자 음식에 대한 갈망에 덜 휘둘리는 느낌이었다."
소금과 지방, 설탕 이 세가지의 조합이
과도하게 맛있게 설계되어 우리의 뇌를 자극하고 있다.
"인류의 역사 중 대부분은 다음번 식사를 언제 할 수 있을지
보장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우리의 생물학적 시스템들은
가장 달콤하고 가장 에너지 밀도가 높은 식품을 추구하도록 설계되었다."
단순히 먹는 것과 운동의 문제만이 아닌
우리 생활 습관 전체와 연관되어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비만이 단순히 먹는 양이나
운동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감정적 트라우마, 스트레스, 자존감 문제 등
복합적인 심리적 요인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먹는 것’이 일종의 감정 해소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내면의 상처와 마주하는 용기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