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치 - 청중을 이끄는
전해별 지음 / 마들렌북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달력의 심화는 '읽지 않고, 말을 하는 것'
스피치에도 밀당이 필요하다
논리적인 스피치를 위한 필승 비법

이 책은 저자 전해별에 의해 마들렌북에서 출판되었으며, 신뢰감 있는 목소리 만들기부터 정확한 발음, 청중과의 소통 방법까지 스피치의 모든 측면을 다룹니다. 특히, 실생활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연습법과 함께 스피치의 기본부터 심화 기술까지 단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습관어 내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에 확신이 없는 말투도 문제지만, 까기 인이 가지고 있는 습관어도 지양해야 한다. 사람마다 자신도 모르게 습관처럼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정 단어나 문구가 있다. 이는 글로 쓸 때는 전혀 나타나지 않지만, 말로 할 때 특히 긴장되는 상황에서 나테 난다.

습관어는 대개 말하는 도중 다음 단어가 바로 생각나지 않을 때 사용하는 단어로, 오랜 기간 사용했기 때문에 전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습관어는 말의 흐름을 깨고, 의미 전달을 방해할 뿐만 아니 라, 청중에게 '말이 세련되지 못하고 버벅거린다'는 인상을 주게 된다. 결국, 청중은 말하는 이가 어리숙하고 미숙하다'고 인식하고 집중하 지 않게 되는 것이다.

어떤 습관어를 사용하는지는 주변 사람에게 물어보거나, 말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해 살펴보면 확인할 수 있다. 스스로의 말을 제3자의 관점에서 관찰하면 몰랐던 습관어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보통 습관어의 기준은 '음, 어, 엄청, 너무, 정말, 솔직히' 등 두세 문 장 사이에서 특정 단어가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삼으면 된다 단어 자체에도 '습관'이 들어가 있듯, 습관어를 하루아침에 고치 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나의 습관어가 무엇인지 인지하는 것만으로 도, 평소에 스피치를 돌아보고 주의를 기울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 고 이 주의는 습관어의 빈도를 줄여줄 것이다.

세계적인 비즈니스 컨설턴트 브라이언 트레이시는 <백만 불짜리 습관> 에서 이렇게 말했다 "사람이 습관을 만들고, 습관이 사람을 만든다.' 당신은 특별하 다. 지금 발휘하는 것보다 휠씬 많은 능력과 재능을 가지고 있다. 그의 말처럼 여러분도 꾸준한 노력을 통해 여러분의 특별한 능력 과 재능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스피치는 앞서 배웠던 깔끔한 목소리와 발음, 전달력 등의 기본과 함께 깔끔한 이미지, 깔끔하게 정리된 체계적인 내용, 깔끔하 게 정제된 말과 확신이 가는 말투'로 완성된다. 이 요소들을 노력하여 잘 가꾼다면, 청중의 입장에서 내용을 확실하게 전달받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분 모두 스피치를 준비할 때면 청중의 입장에서 이 해하기 쉬운지, 전달이 잘 되는지를 기준으로 준비해 볼수있다.

청중의 몰입을 도와주는 오프닝 기술 3가지.
흔한 실수를 하지 않으면서도, 편하지 않은 효과적인 오프닝은 무엇이 있을까?
다양한 오프닝이 있겠지만. 지금부터 알려주는 세 가지 기술을 활용해 효과적인 나만의 오프닝을 만들어보도록 하자.
0 경험 사례 등의 스토리텔링으로 시작한다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오프닝 기법은 경험이 녹아 있는 '스토 리텔링'일 것이다. 흥미로운 이야기, 발표자의 경험담, 모두가 공감할 . 수 있는 스토리 등으로 발표를 시작하는 것은 청중의 관심을 끌수 있 는 매우 좋은 방법이다. 다만, 발표 내용이 맞지 않거나 불쾌감을 주 는 등 적절하지 않은 스토리를 선택한다면 오히려 큰 역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스토리는 신중히 선택하는 것이 좋다 .

스토리텔링은 누구나 쉽게 몰입할 수 있으면서도, 개인마다 모두 다른 경험담과 사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신선하게 발표를 시작할 수 있다. 본인만의 시그니처가 될 수 있는 신선한 오프닝은 그 자체만 으로도 청중의 호기심을 유발할 것이다.

질문을 하라 ㅡ
질문은 청중으로 하여금 발표자의 애기를 일방적으로 듣기만 하 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질문을 받게 되 면, 청중은 자연스럽게 답변을 고민하면서 생각을 활성화하게 되고 앞으로 이어질 내용을 궁금해하며, 발표에 더욱 집중할 수 있다

발표 능력 향상
지루하지 않은 발표의 비결은 흥미를 이끄는 첫 문장
ㅡ내가 떨고 있다는 것을 청중이 모르게 하라
ㅡ여유로운 시선과 제스처는 청중의 마음을 녹인다

협상 능력 향상
ㅡ협상기본은 상대방의 마음을 녹이는 공감과 경청이다
ㅡ협상에도 스킬이 필요하다

"청중을 사로잡는 스피치의 비밀: 실용적인 지침서로 자신감을 찾다" 이 책은 스피치에 자신이 없거나 말하기를 통해 더 영향력을 발휘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꼭 필 요한 지침서입니다. 저자는 다년간의 스피치 경험과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독자들이 스피치를 통 해 청중을 사로잡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책은 단순 히 스피치 기술을 넘어 자신감을 키우고, 개인의 잠재력을 깨우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이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서평을 진행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전해별 #스피치 #마들렌북 #유나리치 #조유나
#서평이벤트#컬쳐블룸 #조유나의톡톡#스피치의기술
#컬처블룸리뷰단#서평단 #서평이벤트 #책추천 #아나운서 #책리뷰



[서평완료] 감사합니다


전달력의 심화는 '읽지 않고, 말을 하는 것'
스피치에도 밀당이 필요하다
논리적인 스피치를 위한 필승 비법

이 책은 저자 전해별에 의해 마들렌북에서 출판되었으며, 신뢰감 있는 목소리 만들기부터 정확한 발음, 청중과의 소통 방법까지 스피치의 모든 측면을 다룹니다. 특히, 실생활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연습법과 함께 스피치의 기본부터 심화 기술까지 단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습관어 내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에 확신이 없는 말투도 문제지만, 까기 인이 가지고 있는 습관어도 지양해야 한다. 사람마다 자신도 모르게 습관처럼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정 단어나 문구가 있다. 이는 글로 쓸 때는 전혀 나타나지 않지만, 말로 할 때 특히 긴장되는 상황에서 나테 난다.

습관어는 대개 말하는 도중 다음 단어가 바로 생각나지 않을 때 사용하는 단어로, 오랜 기간 사용했기 때문에 전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습관어는 말의 흐름을 깨고, 의미 전달을 방해할 뿐만 아니 라, 청중에게 '말이 세련되지 못하고 버벅거린다'는 인상을 주게 된다. 결국, 청중은 말하는 이가 어리숙하고 미숙하다'고 인식하고 집중하 지 않게 되는 것이다.

어떤 습관어를 사용하는지는 주변 사람에게 물어보거나, 말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해 살펴보면 확인할 수 있다. 스스로의 말을 제3자의 관점에서 관찰하면 몰랐던 습관어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보통 습관어의 기준은 '음, 어, 엄청, 너무, 정말, 솔직히' 등 두세 문 장 사이에서 특정 단어가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삼으면 된다 단어 자체에도 '습관'이 들어가 있듯, 습관어를 하루아침에 고치 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나의 습관어가 무엇인지 인지하는 것만으로 도, 평소에 스피치를 돌아보고 주의를 기울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 고 이 주의는 습관어의 빈도를 줄여줄 것이다.

세계적인 비즈니스 컨설턴트 브라이언 트레이시는 <백만 불짜리 습관> 에서 이렇게 말했다 "사람이 습관을 만들고, 습관이 사람을 만든다.' 당신은 특별하 다. 지금 발휘하는 것보다 휠씬 많은 능력과 재능을 가지고 있다. 그의 말처럼 여러분도 꾸준한 노력을 통해 여러분의 특별한 능력 과 재능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스피치는 앞서 배웠던 깔끔한 목소리와 발음, 전달력 등의 기본과 함께 깔끔한 이미지, 깔끔하게 정리된 체계적인 내용, 깔끔하 게 정제된 말과 확신이 가는 말투'로 완성된다. 이 요소들을 노력하여 잘 가꾼다면, 청중의 입장에서 내용을 확실하게 전달받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분 모두 스피치를 준비할 때면 청중의 입장에서 이 해하기 쉬운지, 전달이 잘 되는지를 기준으로 준비해 볼수있다.

청중의 몰입을 도와주는 오프닝 기술 3가지.
흔한 실수를 하지 않으면서도, 편하지 않은 효과적인 오프닝은 무엇이 있을까?
다양한 오프닝이 있겠지만. 지금부터 알려주는 세 가지 기술을 활용해 효과적인 나만의 오프닝을 만들어보도록 하자.
0 경험 사례 등의 스토리텔링으로 시작한다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오프닝 기법은 경험이 녹아 있는 '스토 리텔링'일 것이다. 흥미로운 이야기, 발표자의 경험담, 모두가 공감할 . 수 있는 스토리 등으로 발표를 시작하는 것은 청중의 관심을 끌수 있 는 매우 좋은 방법이다. 다만, 발표 내용이 맞지 않거나 불쾌감을 주 는 등 적절하지 않은 스토리를 선택한다면 오히려 큰 역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스토리는 신중히 선택하는 것이 좋다 .

스토리텔링은 누구나 쉽게 몰입할 수 있으면서도, 개인마다 모두 다른 경험담과 사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신선하게 발표를 시작할 수 있다. 본인만의 시그니처가 될 수 있는 신선한 오프닝은 그 자체만 으로도 청중의 호기심을 유발할 것이다.

질문을 하라 ㅡ
질문은 청중으로 하여금 발표자의 애기를 일방적으로 듣기만 하 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질문을 받게 되 면, 청중은 자연스럽게 답변을 고민하면서 생각을 활성화하게 되고 앞으로 이어질 내용을 궁금해하며, 발표에 더욱 집중할 수 있다

발표 능력 향상
지루하지 않은 발표의 비결은 흥미를 이끄는 첫 문장
ㅡ내가 떨고 있다는 것을 청중이 모르게 하라
ㅡ여유로운 시선과 제스처는 청중의 마음을 녹인다

협상 능력 향상
ㅡ협상기본은 상대방의 마음을 녹이는 공감과 경청이다
ㅡ협상에도 스킬이 필요하다

"청중을 사로잡는 스피치의 비밀: 실용적인 지침서로 자신감을 찾다" 이 책은 스피치에 자신이 없거나 말하기를 통해 더 영향력을 발휘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꼭 필 요한 지침서입니다. 저자는 다년간의 스피치 경험과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독자들이 스피치를 통 해 청중을 사로잡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책은 단순 히 스피치 기술을 넘어 자신감을 키우고, 개인의 잠재력을 깨우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이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서평을 진행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전해별 #스피치 #마들렌북 #유나리치 #조유나
#서평이벤트#컬쳐블룸 #조유나의톡톡#스피치의기술
#컬처블룸리뷰단#서평단 #서평이벤트 #책추천 #아나운서 #책리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