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써 볼까?
김도현 지음 / 모모북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세이를 써볼까? 라는 생각을 할 때,
소재를 찾기가 어렵다는 말을 종종 듣곤 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그냥 자신이 겪은 이야기를,
혹은 자신 주변에 일어나는 일들을 유심히 관찰하고, 거기서 나올 법한 이야기를 나만의 방식으로 쓰면 되는 것입니다. 솔직하고 담담히. 있는 그대로 말입니다.

소재를 만날 때, 나만의 글이 시작됩니다.
작지만 구체적인 소재가 내가 하고픈 이야기로 발전될 때,
즉 이 글을 통해 내가하려는 이야기(주제)와 연결될 때, 당신은 소재를 낚아챈 것입니다.

이렇듯 일상에서의 사소한 사건과 기억들, 어떤 순간들이 모두 당신만의 소재가 되는 것입니다. 당신이 풀어야 할, 풀고 싶은, 이야깃거리들은 넘쳐납니다. 더는 소재가 없어 글을 못쓰겠다는 핑계는 대지 못할 것입니다

습관'이 우리 인생에 얼마나 중요한지. 유명한 말을 빌리지 않아도 우리는 잘 압니다.
당신의 24시간 중, 아주 사소한 시간. 매일의 글쓰기 습관이 어떤 놀라운 경험을 선사할지, 그것을 지켜보길 바라는 마음으로 윗글을 남겨봅니다.

에세이(글)를 쓰기 위해서는, 연필과 메모장, 노트북과 친해지기. 관찰력, 공감력, 나만의 이야기를 우리의 이야기로 승화. 이 네 가지 습관만 있다면 얼마든 가능한 일일 것입니다. 충분합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글을 쓰는 사람에게는 언제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소재나 주제를 얻을지 모릅니다.
갑자기 떠오른 소재는 그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리기 일쑤입니다. 그러니 연필과 메모장은 꺼내기 좋은 곳에 항상 들고 다니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노트북입니다. 메모했던 걸 조금 더 발전시킨 이야기라면 빠르게 노트북에 옮겨 놓는 것도 아주 좋습니다.

내 이야기가 나만의 이야기로 끝납니다. 그것은 혼자 읽고
말아야 할 글입니다. 내 이야기가 '우리(인간)의 이야기로 거듭날 때, 독자는 '공감'을 합니다.
작가라면, 나만의 이야기를 통해 '무엇을 말할까'를 늘 고민해야 합니다. 독자가 에세이를 읽는 이유도 여기 있습니다.

에세이 작가는 자신만의 글,즉 자기 성찰을 통해 `인간 이해'에 이르려는 글이기 때문입니다. 공감 능력'이 필요한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비용을 들일 필요가 없으니 이 얼마나 가성비 넘치는 습관입니까. 거기다 이런 매일의 습관으로 당신 이름이 새겨진 에세이책까지 결과물을 얻었을 때의 기쁨과 뿌듯함까지. 당신만의 이야기로 당신의 이름이 새겨진 책이 당신에게 '제2의 인생길까지 열어준다면, 이럴 때 쓰는 말이 생각납니다ㅡ'금상첨화 'ㅡ

하루, 작은 시간의 집중과 습관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지켜보는 일은 매우 흥미로운 일일 것입니다.

에세이는 무형식적이고, 개성적이며 자신이 겪은 일을 솔직하게 쓴 글이자, 화자가 1인칭인 고백적 문학입니다. 그런 이유로 작가의 글 안에는 나만의 '인생관과 가치관'이 담겨있는 것입니다.

일상에서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그 모든 것에서 어느 순간이 포착되면 놓치지 않기 위해 부지런히 모으기 때문입니다. 소소한 일상에서 아, 이건 글감이 되겠네.'라는 생각이 머리를 스치는 순간. 그것을 낚아채 메모단만 해두면, 한편의 글이 나옵니다.
그 순간들을 메모하고 글쓰기를 하는 시간은, '나의 발견'이자, 자아 성찰'입니다. 두 단어는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가 있지만, 어찌 보면 둘 다 같은 의미라 생각됩니다. 자신을 들여다 보고, 무언가를 반성 내지는 깨달음을 갖는 시간이기에 그렇습니다.

그런 의미로 잠시 '나를 들여다볼 시간'을 가져 봅니다. 누구나 '좋아하는 일로 생업을 있는 것'이 행복할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들 대부분은 `'좋아하는 일'보다는 본인이 '잘하는 일'로 생업 전선에서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잘하는 일로 돈을 벌고 있지만, 행복하지 않다는 생각은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것입니다
당신이 잘하는 일에서 소재를 찾아 글을 쓴다면, 좋아하는일로 연결되는 것이니, 일상에서 행복을 찾는 일은 그다지 어려운일이 아닐 것입니다.

좋은 에세이(글)란, 누군가 인생을 살아가는 가치관에 영향을 주며, 오래도록 기억되는 것입니다.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글이라면 그 가치는 충분할 것입니다.
소재란 이 세 가지를 엮는 발판이 되는 것이니, 그것을 찾는 일에 마음을다하길 바랍니다.

글은 눈이 아닌, 마음으로 읽는 것입니다. 내용이 변변치 않으면서 기교만 부린다면 독자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합니다. 알맹이가 없다면 그 글에 진실이 없는 것입니다.
좋은 글이란 진솔함이 담긴 것. 그것이 '명품 글'입니다.
책을 읽고 에세이책 쓰고 싶어졌습니다.감사합니다

*이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리뷰를 작성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에세이를써볼까 #에세이쓰기안내서 #입문서 #책쓰기
#하루10분글쓰기 #글쓰기 #책쓰기 #독서 #김도현 #코치 #글쓰기 ##에세이 #글 #책 #강사 #도서
#유나리치 #조유나 #조유나의톡톡 #리앤프리 #서평단
#서평이벤트 #책리뷰 #블로그 #좋은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