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과 인생의 진실 - 인생의 행복과 풍족함을 손에 넣기 위해서 아우름 26
혼다 켄 지음, 정혜주 옮김 / 샘터사 / 201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현대인에게 돈은 절대 뗄 수 없는 소중한 존재이다. 하고 싶은 것도 하기 싫은 것도 모두 돈으로 귀결된다. 직장인들이 사표를 품에 안고 사는 것도 다 돈 때문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은 많은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자본의 힘을 얼마만큼 움켜쥐고 있는가가 강자와 약자로 나뉘게 한다. 다른 물건들은 없어도 살지만 돈은 있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말이 괜히 생겼을까.

이 책은 '혼다 켄'이 연구해 온 돈에 관한 지식과 가치를 전달하는 책이다.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 해야 할 일을 나열하지는 않았다. 어떻게 보면 내용은 추상적이다. 돈이 중요하지만 그 밖의 중요한 것을 놓지 말라고 하는 뻔한 이야기 일 수 있다. 하지만 저자가 말하는 돈에 대한 개념과 흐름, 본질과 수단으로서 이 종잇조각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한다. 낭비벽이 심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지나치게 돈을 아끼는 사람이 있다. 이것은 자라면서 형성된 가치관이 큰 영향을 미친다. 그 가치관은 대부분 부모에게서 비롯되며 쉽사리 고칠 수 없다.

우선, 돈이 어떻게 탄생되었는지 그 본래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돈은 교환을 위해 탄생되었다. 내가 얻고 싶을 것을 얻기 위해 그만큼의 가치를 지불하기 위한 수단이다. 돈을 교환되면서 시장을 형성했고 시장은 원활하게 돈이 돌아야 유지가 되게 되었다. 그 속에서 이익을 더 보려는 사람과 손해를 보는 사람이 생겨났다. 이 역할을 생각하며 우리가 돈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언제 돈을 쓰고 모으려 할까?


자신이 가진 돈이나 일에 대한 관념이 결국 인생을 만들어가는 구조가 보인다는 점입니다. 이는 저에게도 인생을 바꾸는 커다란 깨달음이었습니다. 그것은 부모 자식 관계에서 일어난 과거의 일을 다시 마주하거나 치유하는 것으로 지금의 경제 상태까지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했기 때문입니다. (p.120)


보통 경제관념은 부모가 용돈을 주면서부터 시작된다. 용돈을 많이 주는지, 적게 주는지 또는 사용 여부에 자유를 주는지, 심부름에 대한 대가로서 돈을 주는지 등으로 보통 나뉜다. 여기서 부모가 가진 돈에 대한 가치관이 나타나고 아이는 그 가치관을 대물림 받는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정답이 없다는 것이다. 어떤 것이 좋은 방법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돈과 맺는 관계가 자유로워야 한다는 점이 저자가 강조하는 부분이다.

우리의 능력이 없으면 사고 싶을 것을 얻기 위해서 부모의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여기서 흔쾌히 응하는 부모가 있는 반면 단호하게 거절하는 부모가 있다.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누군가는 사고 싶다는 욕구를 경제력이 생기자마자 분출하는 반면 다른 누군가는 경제력이 생겨도 쉽게 지갑을 열지 않는다. 여기서 돈의 본질로 들어가 보면 돈은 순환되어야 맞다. 돈을 무조건 안 쓰는 것은 결국 돈이 고인다는 점이고 고이면 썩기 마련이다. 너무 안 쓰면 쓸 줄도 모르고 돈을 벌 줄도 모르는 상태가 된다.

저자는 돈을 벌고 싶으면 돈을 적당히 쓰라고 한다. 쓰는 것은 투자 개념이다. 내가 적당히 어딘가에 투자를 한다는 생각으로 돈을 써야 나도 돈을 벌어 모을 수 있다고 말한다. 여기서 투자는 기업이나 이익이 될만한 것뿐만이 아니라 개인의 재능, 학업, 능력 등도 포함된다. 내가 나 자신에게 투자하여 얻을 수 있는 것들도 모두 포함된다는 점이다. 돈은 쉽게 사라진다. 허무할 정도로 빠르게 사라진다. 그렇기 때문에 소비하기 전 생각과 고민은 필요하다. 저자는 그래서 돈 교육을 정교육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말한다.

돈을 제대로 사용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나는 돈을 쓰기까지의 과정이 복잡하고 두렵다. 하고 싶어도 못하겠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많다. 그런데 막상 사용하면 홀가분한 기분이 들 때가 있다. 이 느낌이 돈을 잘 사용했다는 신호일 것이다. 미련이 남지 않는 소비는 행복한 투자이다. 그게 물건이든 사람이든 마음이든 어디까지나 자신의 행복을 위해 사용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