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이라고 오해하지 말고 차별하지 말고 - 기생충에게 마음을 열면 보이는 것들 아우름 25
서민 지음 / 샘터사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생충을 연구하시는 서민 교수님이 기생충에 관한 오해와 편견을 실생활의 사건에 빗대어 표현하는 짧은 책이다. <서민적 글쓰기>라는 책으로 먼저 알게 되었던 분인데 기생충을 연구하시는 분이라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며 알았다. 기생충 이외에도 글을 어떻게 하면 잘 쓰는지, 자신을 글을 어떤 계기로 쓰게 되었고 지금의 작문 능력을 가지게 되었는지도 짤막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기생충'이란 말만 들으면 거부감이 든다. 내 또래는 기생충이란 단어를 거의 접할 기회가 없을뿐더러 가끔 뉴스에서 나오는 안 좋은 사건들에 연루된 기생충 얘기만 들어서 인지 그리 친근하게 느껴지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과거에는 대변검사에서 기생충을 찾아냈다는 점도 이러한 거부감에 한몫을 기여하고 있다. 교수님도 이러한 편견들에 대해 인정하고 있다. 애초에 '기생충'이란 단어로 명명한 것부터가 거부감을 들게 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기생충은 그렇게 해로운 존재가 아님을 이야기한다.

기생충은 숙주에 기대어 생존하는 작은 미생물이다. 꿈틀거리는 것만 생각해도 징그럽지만 그들은 사람을 해치려는 의도를 가지고 우리 몸속에 기생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오히려 기생충보다 더 끔찍한 사건들이 우리 주변에 있다며 여러 종류의 기생충을 소개하며 메르스 사태, 세월호 사건, 버려지는 개 등 일상 속에서 발생하는 여러 사건들이 이러한 기생충보다 더 못났다고 말한다. 이러한 사건들, 특히 행동의 주체인 인간들이 벌인 일이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기생충만큼이나 박멸해야 하는 인간들도 많다는 것이 씁쓸하게 느껴진다. 기생충은 약 하나면 그 모든 것이 가능하지만 인간은 그렇지 못하다. 계속 더불어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더 고통스럽고 잔인한 일들이 많이 발생한다.

기생충으로 떠들썩하던 시절은 지나갔지만 오히려 기생충을 연구하고 관심 가져야 할 시기는 지금이라는 말이 와닿는다. 기생충이란 학문만이 아닌 모든 학문이 그렇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비인기 학문은 명맥을 잇기부터가 힘들다. 같은 학문 내에서도 취업이 잘 되는 분야와 기술이 더욱 각광받는 시대이다.

이런 이야기를 읽다보니 '슬럼프'란 단어가 떠오른다.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되고 자존감도 떨어져 회의감만 늘어가는 그 시기를 잘 견뎌내야 한다고 말한다. 그 암흑 같은 시기를 잘 버텨야 내가 수직 상승할 수 있는 기회와 바탕이 주어지고 실력마저 향상되기 때문이다. 기생충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처음에는 몰라서 막 대했지만 결국 증상이 나타난다. 과거의 약이 여전히 통용되고 있는 단순한 아이들이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박멸할 수 있는 약은 없다.

비인기 학문도 마찬가지란 생각이 든다. 언제 어느 곳에서 그것이 갑자기 필요해질지 모른다. 우리가 독감을 예방하기 위해 주사를 맞는 것처럼 무언가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준비를 해야 한다. 지금 당장 필요하지 않다고 무시하는 것은 안일한 생각은 아닌지, 우리가 너무 앞만 보고 달려가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게 되는 책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