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사람들 - 사이코패스 전문가가 밝히는 인간 본성의 비밀
애비게일 마시 지음, 박선령 옮김 / 와이즈베리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사이코패스 전문가가 밝히는 인간 본성의 비밀'이란 문구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사이코패스와 평범한 인간의 차이는 무엇인지, 더 나아가 이 책은 '이타 주의적 사람들'과 '사이코패스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실험을 통해 차이를 알려준다. 보통 사람이면 고통을 느끼는 사람에게 연민, 불안, 두려움의 감정을 느낀다. 그것은 단순히 선한 마음으로 여겨지지만 상황에 어떠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영웅적인 행동으로 누군가를 위험해서 구해냈을 때, 언론들은 앞다투어 그 사람이 망설임 없이 뛰어들어 목숨을 구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행동을 당사자는 그 순간 속에서 혹시나 잘못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과 공포를 느끼고 잠깐이지만 망설이기도 한다고 말한다. 즉, 선한 행동이라고 해서 과정마저 아름다울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것이 인간의 본성인 것이다.

그럼 사이코패스는 어떤 사람들일까? 우리는 뉴스에 나오는 사이코패스를 보며 가정에서 보고 자란 게 있으니 저렇게 행동할 것이라 말한다. 어느 정도는 일리가 있다. 그들 중 몇몇은 가정환경이 그리 좋지 않았음이 밝혀지기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사이코패스들이 가정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사이코패스를 이렇게 정의한다.

사이코패스: 동정심을 느끼는 뇌 기능이 상실된 정신 질환. 냉혹한 태도, 행동 조절 장애, 사기나 조작 같은 반사회적 행동이 두루 나타남.

뇌의 문제가 있는 정신질환의 한 유형으로 사이코패스를 바라본다. 저자는 사이코패스 성향을 가진 아이들을 대상으로 두려움과 공포 등에 관한 감정을 느끼는지에 관한 실험을 하나 한다. 거기서 알 수 있는 것은 그들은 이러한 감정을 알지 못하고 자란다는 점이었다. 이는 대뇌와 편도체의 기능 장애로 나타난다. 다른 아이들과 비교했을 때 그 부분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사이코패스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상대를 무자비하게 학대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럼 이타 주의적인 사람들은 어떨까? 사이코패스와 정반대의 성향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들은 사이코패스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부족한 두려움에 높은 공감을 보인다. 또한, 감수성이나 활동성 면에서도 높은 수준을 보이며 특히, 보통 사람들보다 연민을 높게 느낀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이식과 같은 선한 일에 고민 없이 나설 수 있는 것이다.

장기이식에도 위험부담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그들은 누군가를 도울 수 있는 일에 대해서는 두려움을 크게 느끼지 않았다. 저자가 만났던 사람들을 보면 대부분 즐거워하고 기뻐했다. 실험 대상이 되겠다고 자원한 사람들은 그 누구보다도 적극적이었다. 그들은 마치 배려를 위해 태어난 사람들 같았다.

책의 말미에는 우리가 이타적인 존재가 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4가지를 말해준다.

1. 우리는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나은 존재이다.
2. 남을 보살피려면 단순한 동정 이상의 뭔가가 필요하다.
3. 자제심은 답이 아니다.
4. 문화적 변화로 인해 배려심이 더 늘어났다.

 

 

이타 주의적인 사람들과 사이코패스의 비교가 인상적인 책이다. 결국은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이타 주의인 것이다. 장기이식처럼 대단한 일을 해낼 만큼 이타적인 사람은 아니지만 우리는 살면서 누군가를 배려하고 도와준다. 생물학적으로 이타적인 DNA가 내재되어 있다는 증거일 것이다. 이타적이기 위해 노력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이기적인 사람보다는 이타적인 쪽이 더 나은 삶이 아닐까 생각은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