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집에 머물다
박다비 지음 / 상상출판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 우리 할아버지는 손수 집을 지어 사셨다고 들었다. 비록 지금은 철거되어 형태조차 찾아볼 수 없지만, 그때의 기억은 나에게 좋은 추억으로 남아있다. 나무냄새가 풍기는 바닥, 오래된 시간만큼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풍기는 천장, 제주도의 특징인 돌담, 미끄럼틀처럼 나있는 계단 난간, 시골집에 가면 볼 수 있는 특유의 유리문, 바다가 보이던 옥상.... 기억을 더듬어 보면 어디 하나 안 좋았던 공간이 없다. 그래서일까? 이 책은 유년시절을 떠올려 보게 하고 우리 할아버지도 이렇게 집을 지으셨을까 생각해보도록 했다.
 
최근에 제주도에는 오래된 집을 개조해서 만든 카페나 독채 민박이 늘고 있다. 제주 도민이자 오래된 집에 대한 추억이 있는 나는 개인적으로 이런 건물들이 정감이 가 환영한다. 이런 곳들은 주인들의 개성과 합쳐져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데 그 분위기가 사람을 기분 좋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 책을 쓴 다비 씨는 100년 된 오래된 집을 남편과 함께 맨손으로 가꾸고 일궈낸 이야기를 과정 하나하나 자세히 풀어낸다. 건축을 전공해야만 알 수 있을 것 같은 용어들(예를 들면, 미장 같은)은 직접 책과 인터넷을 뒤져가며 연구한 산물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손수 모래와 시멘트, , 나무 자재들 등을 하나하나 섞고 다듬고 바르며 완성했기에 알 수 있는 어려움과 고충 역시 진하게 묻어 나온다. 100년 된 집을 고친다는 것은 저절로 ‘사서 고생’하겠다는 말이다. 갓 결혼한 신혼부부가 이 일을 하니 서로 싸우고 짜증 내는 날도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견디고 지나왔기에 그 고생들은 집을 더욱 소중하고 아끼게 만드는 윤활유가 된다

 

 

집의 묵은 때를 벗기며 머리 위에 쌓인 먼지처럼 차곡차곡 하나하나 허투루 하지 않으려는 노력은 숙박업소로 탈바꿈했을 때 방문객들의 좋은 평을 받는다. 실제로 전과 후 사진을 보니 정말 처음 보았던 그 집인가 싶다. 부부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이다. 산뜻하고 따뜻한, 편안한 이 되었다. 오래된 집은 다시 첫 탄생을 맞이했다.

제주에서의 삶은 그렇게 낭만적이고 자유롭지 않다. 숙박업소인 경우, 매일 손님을 받고, 청소해야 하기 때문에 하루하루 바쁘다고 말한다. 특히, 제주는 여가를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장소가 있지 않아 그 시간을 보낼 만한 취미를 따로 가질 필요가 있다.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제주 생활이 지루해 다시 돌아간 사람들의 이야기도 심심치 않게 들린다. 다비 씨는 말한다.

우리는 모두 다르고, 누군가는 빠르고, 누군가는 느리며 누군가는 크고, 누군가는 자그마하며 누군가는 대담하고, 누군가는 다정하며 그렇게 다양한 삶의 모습이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떠올려 볼 수 있기를. (프롤로그 中)

꼭 제주가 아니더라도 모두가 각자의 방식에 맞는 행복을 찾았으면 좋겠다.  나도 행복을 위한 선택지를 잘 골랐으면 하고 바라게 된다. 좀 더 여유 있고 평화로운 삶, 바쁘지만 그 속에서 숨통이 트일만한 무언가를 찾는 시간 모두에게 공평하게 주어지는 사회였으면 한다.

삶이란 그런 것이 아닐까. 우리 모두 끊임없이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으로 조금씩 좋은 방향으로 바뀌어간다면 언젠가 좋은 삶, 좋은 인생이 되지 않을까? (p.1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