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자고 결혼했을까 - 결혼을 인생의 무덤으로 만들지 않기 위한 애착의 심리학
오카다 다카시 지음, 유미진 옮김 / 와이즈베리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어쩌자고 결혼했을까>라는 자극적인 제목이 눈에 먼저 들어온다. 이 책은 오카다 다카시’라는 정신의학과 의사가 21쌍의 부부의 문제를 어린 시절 애착과 연관시켜 문제의 원인을 바라본 책이다.
 
이 책은 이러려고 결혼한 게 아닌데’, ‘남편이 사라져버렸으면 좋겠다’, ‘사랑과 인생을 되찾은 아내들’, ‘사랑도 가족도 새로운 형태가 필요하다4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아내의 시점에서 소개되는 사례들은 결혼으로 남편에게 종속되어 살아가는 아내의 모습부터 그렇게 벗어나고 싶어 했던 부모님의 모습을 남편의 모습에게 보게 되는 모습까지 결국 어린 시절 보고 자랐던 테두리 안에서 벗어나는 것이란 쉽지 않은 일임을 보여주고 있었다.
 
애착은 어린 시절 엄마와의 친밀한 관계를 말한다. 그 관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아닌지에 따라 성인이 되어서 다른 사람과 사랑을 할 때 그 표현방식이 달라진다. , 얼마만큼 사랑을 받고 자랐는지, 가족이 화목했는지, 어릴 적 욕구가 충분히 충족되었는지에 따라 내가 자라면서 받아왔던 것이 결핍으로 남지 않는다는 것이다.
 
21쌍의 부부들은 모두 애착관계에 있어서 결핍이 존재했다. 그중 일부는 가족과 연을 끊고 살 만큼 자란 환경이 만족스럽지 못했으며 결혼생활에서 기댈 가족이 부재해 홀로 끙끙 앓다가 의사나 상담사를 찾아가는 경우가 빈번했다.
 
기질적으로 생물학적으로 타고난 유전 역시 무시하지 못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는데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바람을 피운다거나, 여성 또는 남성 편력이 심하다거나 하는 등의 행동들이 단순히 도덕적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타고나길 그렇게 태어났기에 그것을 제어하는 것이 힘든 경우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가족형태가 현재 나타나고 있고 이젠 이들을 받아들일 때가 왔다고 말한다. 이 책의 한 사례로는 남편이 자녀에 대한, 가정에 대한 책임감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아내가 자녀를 출산하자 그는 완전히 등을 돌렸고 결혼 이전의 자유롭던 생활을 계속 이어나가는 경우였는데, 결국 이혼을 하고 아이를 위해 한 달에 몇 번 같이 만나고, 능력이 되면 생활비를 보태는 등의 관계를 꾸준히 유지하는 사례였다. 아내와 남편 모두 만족스러운 생활 형태였다.
 
이것을 보면 아이를 위해 이혼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꼭 그것이 아이를 위한 방법일까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아마 저 사례의 아내가 이혼을 택하지 않고 견디며 살았다면 아이는 그 속에서 부모님의 불화를 계속해서 목격해야 할 것이고, 집에서 안정적인 심리를 유지하는 것은 어려웠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것은 아이뿐만이 아니라 아내가 아닌 한 사람으로서도 삶의 낭비일 것이다.
    
이젠 혼자라는 말이 익숙해진 시대가 되었다. 비혼, 독신 등의 결혼을 일부로 하지 않는 사람도 늘었고 결혼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많아졌다. 사랑의 형태를 어디까지 인정해야 하는지도 여전히 문제이다. 읽으면서 꼭 사랑의 최종적 형태가 결혼이어야 되는 것일까? 의문이 들었다. 그건 아닌 것 같았다. 무턱대고 사랑만 가지고 결혼하기보다는 서로가 자신이 자라온 환경, 받아왔던 사랑, 성격적 결함 등을 더욱 신경을 써 서로가 이것을 오랫동안 견딜 수 있는지를 생각하고 또 생각해서 결정 내릴 문제이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