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겨울
아들린 디외도네 지음, 박경리 옮김 / arte(아르테)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폭력적인 아버지 밑에서 자란 소녀와 소년이 성장해 나가며 자신의 위기를 헤쳐나가는 가슴 아픈 이야기다. 유년시절에 마주한 폭력은 어린아이를 어른아이로 만든다. 하지만 마음만 어른일 뿐, 여전히 아이라고 규정된 사회 속에서 이들은 보호자 없이 어떤 것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없다. 또래보다 일찍 성숙하게 된 소녀는 예정된 삶의 무게를 자신의 동생만큼은 짊어지게 하지 않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동생의 사랑스럽고 순수한 영혼이 타락하지 않도록 집에 일이 터질 때마다 그를 끌어안고 좋은 이야기만을 들려주며 항상 이 모습 그대로 자라주길 바란다. 


나는 누군가가, 어른이, 내 손을 잡고 데려가 침대에 눕혀 주길 바랐다. 내 생의 방향을 바꾸어 주길 바랐다. 내일이 올 것이고, 이어서 또 그다음 날이 올 거라고, 그러면 결국 내 삶은 얼굴을 되찾을 거라고, 내게 말해 주길 바랐다. 피와 공포는 옅어질 것이라고. (p. 34)


하지만 2차 성징이 시작되고 '여자'와 '남자'라는 뚜렷한 태가 갖춰지기 시작하자 그들의 아버지는 점점 괴팍해지기 시작한다. 아직 초등학생밖에 되지 않은 동생을 사냥터에 데리고 다니며 총기 사용을 가르친다. 난폭하고 잔인하기 다를 바 없는 교육 속에 동생은 점차 맑은 미소를 잃어가고 아버지와 닮은 섬뜩한 미소를 띄며 동물을 죄책감없이 죽이기에 이른다. 아직 되돌릴 수 있다고 여긴 소녀는 소년의 시선을 예전처럼 끌어보지만 더 이상 그는 그녀의 말을 듣지 않고 무시한다. 급기야 아버지는 자신의 딸을 사냥감으로 삼아 사냥하는 끔찍한 사태를 초래하기에 이르는데 여기에 동생 역시 누나를 그저 사냥감으로 여기는 무서운 태도를 보인다. 


삶이란 믹서에 담겨 출렁이는 수프와 같아서, 그 한가운데에서 바닥으로 끌어당기는 칼날에 찢기지 않으려고 애써야만 하는 것이다. (p. 91)


과연, 이 모든 일이 단순 소설에만 있는 상상일 뿐일까? 사냥이라는 구체적인 상황으로 나타냈지만 현실도 이와 다르지 않다. 총과 칼 대신 욕설과 손찌검이 휘둘러지고 반항은 굴복과 체념으로 바뀌며 이 순간이 지나가기만을 기도하게 된다. 이제 막 자신을 설계하는 소녀의 눈엔 가까운 미래가 있었다. 그녀의 엄마. 여기서 벗어나지 못하면 자신 역시 엄마처럼 살 수 밖에 없음을 일찌감치 깨닫는다. 그래서 철저히 자신의 천재성을 감추며 때를 엿본다. 


한 번이라도 폭력을 겪어 본 사람이라면,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폭력에 노출되어 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상처는 절대로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아물고 옅어질 수는 있을지언정 사라지지는 않는다. 아이의 어머니 얼굴에서 상처가 눈으로, 입으로, 이마로 옮겨갔던 것처럼 폭력의 흔적은 몸 여기저기서 불숙 나타났다 사라지고 또 나타나길 반복한다. 안전하다고, 아픔은 이제 끝이라고 느끼게 해 줄 누군가가, 혹은 그 어딘가가 없다면 결국 텅 빈 베갯잇 혹은 의지도 욕망도 없는 아메바가 되어 버릴지도 모른다.


그런 의미에서 가족 사이에서 노출되는 폭력은 더욱 잔인하다. 사랑하고 사랑받아야 마땅할 사이에서 행해지는 폭력. 온 힘을 다해 미워할 수도, 도망갈 수도, 안심할 수도, 치유될 수도 없을 것만 같다. (p. 182)


결국 아버지는 자신이 저질렀던 방식 그대로 죽음을 맞이한다. 폭력의 주체가 사라졌지만 마냥 해피엔딩으로 느껴지지 않았던 건 계속해서 이들 무의식 속에 살아 숨 쉴 기억들 때문이다. 그렇게 살지 않으려 애쓰며 노력했던 소녀가 앞으로도 계속 폭력의 잔상과 싸워야 함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그녀는 과연 동생이 잃어버린 순수한 미소를 바람처럼 되찾을 수 있을까? 그랬으면 좋겠다. 기적처럼, 당연하단 듯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