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탐정 S - 바세보 탐정에게 배우는 33역량
신호종 지음 / 넥서스BIZ / 201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역량 전문가 신호종이 전하는 신선하고 독특한 탐정소설 <명탐정 S>! 검찰 수사관 출신인 명영호가 바세보 탐정사무소를 개업하여 다양한 사건들을 맡으며 벌어지는 과정을 다룬 추리소설이다. 여타 다른 추리소설과 달리 사건의 키워드나 복선, 심리상태보다는 탐정 사무소의 직원 '문영민', '강철만', '양초희'의 능력에 대해 곱씹게 한다. 사건은 3명의 직원이 가진 역량에 따라 풀려가기도 하고, 때론 종잡을 수 없는 상황을 맞닥뜨리게도 하는데 이들을 총괄하는 명영호의 시선과 코치는 조직을 진두지휘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세밀하게 묘사된다. 이를 보면 사회와 조직이 갖춰나가야 할 태도와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럼 저자가 소설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역량'은 무엇일까? 그는 역량을 "진단하고 실행하며 마무리 짓는 기술, 세상을 움켜쥐는 힘"이라고 정의한다. 명영호가 채용한 세 명의 직원은 모두 다른 역량을 가진, 달라도 너무 다른 사람들이다. 바세보에 취직하기 전에 했던 일들은 그들의 역량이 어떻게 발휘될 수 있었는지 간접적으로 알려주는데 이를 보면 사람의 역량이란 단지 하나의 직업으로 가둬둘 수 없는 고유한 개성이며 장점이란 생각이 들었다.

 

 

<이상한 보이스피싱>, <일화이발소 그림>, <완전한 유언> 세 사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이는 누궁리까? 란 물음표를 가지고 책을 읽으면, 나는 이 셋 중 어느 유형에 가까운 사람인지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강철만은 '성과역량', 양초희는 '관계 역량', 문영민은 '사고 역량'을 가졌다. 단합보단 갈등이 발생하기도, 손발이 안맞을 때도 있지만 시행착오일 뿐이다. 다른 사람들이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향하는 길은 새로 닦는 거친 길일 수 밖에 없으니까.

 

 

업무능력이 비슷한 수준이라면 가급적 똑같은 유형보다는 다양한 유형으로 팀이 구성되는 것이 큰 위기를 피할 수 있는 방안이다. 똑같은 유형이 모인다면 단합은 잘 되는 장점이 있지만 모두 같은 방향만 바라봄으로써 다른 쪽은 놓치는 우를 범하기 쉽기 때문이다. 다만, 다양한 유형이 모이면 단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어서 갈등 조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p. 380)

 

 

책에서 <이상한 보이스피싱>이 가장 인상적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를 보면, 나는 정이 많고 논리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이다.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흐트러지지 않도록 시기를 가늠하는 사람, 행동보다는 생각이 우선인 사람 그런 사람은 '사고형' 인간이다. 이런 방식으로 자신이 적재적소에 쓰일 수 있는 곳을 찾아야 한다. 역량은 갖추는 것만큼 빛을 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도 필요하니까.

 

 

불필요한 질문이나 압박 면접 같은 고압적인 태도가 아닌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조직의 인재를 육성해 나가는 마인드가 정착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읽으며 커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