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 아르테 한국 소설선 작은책 시리즈
은모든 지음 / arte(아르테)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영화 『미 비포 유』를 다시 봤다. 존엄사를 다루는 두 작품은 죽음을 결심한 당사자와 가족의 심경을 대변한다. 어느 한 쪽이 맞고, 틀리다가 아니라 두 입장 모두 존중할 필요가 있고, '생명'이란 테두리 내에서 선택은 돌이킬 수 없는 결정이기에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안락은 10년 후, 한국에서 존엄사가 합법화된 상황이라는 가정하에 진행된다. 지혜의 할머니는 5년 후 죽겠다는 선언을 가족들에게 하신 후, 천천히 자신의 삶을 정리해 나간다. 하지만 가족들 내에서도 찬반의 양상은 뚜렷하고 특히, 지혜의 어머니는 이를 결코 받아들이지 못한다. 아직 정정한 엄마가 몇 년 후에 죽겠다니 딸의 입장은 억장이 무너지는 느낌인 거다.

 

할머니라고 자신의 생명을 스스로 마감하는 결정이 쉬운 결정이었을까? 아니다. 자식들을 뒷바라지하다 보니 어느새 자신은 노인이 되었고 몸은 여기저기서 삐거덕 소리를 낸다. 이제 자신의 몸은 병원을 다니며 생명을 연장시키는 방법밖에 없기에 허탈함과 지난날의 무상함이 겹쳐 오셨을 테다. 자신을 간호하며 병수발을 들 자식들의 미래가 뻔히 내다보이기에, 그 꼴은 절대로 보기 싫어서 하루라도 건강할 때, 삶을 돌아보며 마지막 인생계획을 세운다.

 

할머니의 죽음이 어떤 느낌일지 처음으로 실감해본 순간은 지혜가 수면내시경을 받는 장면이었다. 지혜는 할머니의 입장을 존중하는 쪽이었다. 하지만 수면내시경을 했던 단 몇 분간의 기억이 삭제되어 기억나지 않자, 할머니의 죽음도 이런 것일까 실감한다. 주삿바늘을 뽑으며 난동 부렸던 순간조차도 전혀 머릿속에 없는데, 할머니의 마지막 기억도 한순간에 사라지는 것일까 봐 처음으로 두려움을 느끼며 눈물을 보인다.

 

내가 뭘 잘한 게 있다고 여전히 저토록 깍듯한 어투로 얘기해주는지, 간호사의 변함없는 친절에 나는 감탄했다. 또한 그가 말한 일들이 전혀 기억이 없다는 것이 신기하기만 했다. 내 몸속으로, 내장 기관 안쪽 깊숙한 곳까지 카메라를 단 호스가 들어간 일도, 그게 겁난다고 혈관에 꽂은 주삿바늘을 뽑아내며 사방에 핏방울이 튀도록 한 만행까지도 깨끗하게 기억이 없다니. 그보다 더한 일이 벌어지더라도 조금도 기억하지 못할까. 할머니가 맞이하는 죽음이란 이렇게 고통도 기억도 일순간에 지워지는 과정인 것일까. 그럼 그다음은 어떤 게 기다리고 있을까. 몽롱한 기분으로 그런 생각을 하며 병원 건물을 빠져나오는데 찔끔 눈물이 났다. (p. 98)

 

소중한 사람을 잃는 고통을 알면, 쉽게 웃을 수 없다. 『미 비포 유』에서 윌은 사지가 마비되어 어느 것도 스스로 할 수 없는 자신은 진짜 내가 아니라서 불행하기에, 불행한 자신을 보는 사람도 불행해질 걸 알기 때문에 선택을 한다. 사람은 몸이 아프면 저절로 최악을 생각한다. 숨만 쉰다고 살아있는 건 아니다. 내가 하나라도 스스로 할 수 있고, 그걸 바탕으로 삶을 일궈나갈 수 있을 때, 그게 사는 게 되어 희망을 찾아볼 수 있는 원동력을 부여한다. 할머니가 이와 같은 선택을 했던 것은 독한 약들과 싸우다 지쳐 간신히 숨만 붙어 있기보단, 마지막 가는 길은 내가 할 수 있을 때 충분히 삶을 돌아보고 정진하고 즐기다 가고 싶은 마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후회 없이 살다 가기 위해 노력하셨으니 마지막 가는 길에 미소를 지으시지 않았을까.

 

나의 할머니 이금래 씨. 할머니는 오 남매 중 셋째로 태어나 걸음마를 떼면서부터 집안일을 도왔고, 유년시절 내내 동생들을 건사하느라 분주했다. 열아홉에 가정을 이룬 뒤에는 세 자매를 키우면서 시어머니의 식당 일을 돕느라, 자녀들이 성장한 후에는 시가의 식당에서 독립해 차린 밥집을 운영하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빴다. 또한 여든을 넘기고 가게 일에서 물러난 뒤에는 곳곳에 탈이 나는 자신의 몸을 돌보느라 하루도 편할 날이 없었다. 그러나 스스로 선택한 마지막 순간, 할머니의 표정은 편안했다. '개운하게 가겠다'라던 결심이 그대로 이루어진 듯 모든 짐을 내려놓고 떠나는 할머니의 입 끝에는 희미한 미소가 걸려 있었다. (p. 148~1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