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나로 살아갈 용기 -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 모든 순간을 나답게 사는 법
브레네 브라운 지음, 이은경 옮김 / 북라이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기는 요구를 동반하는 느낌이 들어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포기와 짝꿍처럼 붙어 다니는 모습이 패배자란 낙인을 찍을 것 같아 함부로 범접할 수 없는 단어. 나에겐 용기란 그렇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제목을 보자마자 읽고 싶었다. 사회생활을 하며 이전의 나를 잊어버리는 듯한 기분에 사로잡혔기 때문이다. 이전의 나는 때론 우울했지만 맡은 일엔 최선을 다했고, 웃기도 잘했고, 계속 힘을 내고자 많은 노력을 다했다. 주 5일, 하루 9시간을 보낼 소속 집단이 생기기 전까진.  시간을 내야 하는데 힘이 없어 흘려보낸 시간들 속엔 나로서 존재하게 해주는 시간들이 들어있었다. 그 시간을 보내지 못하다 보니 저절로 무기력해졌고 귀찮아졌고 잠만 자고 싶었다.

소속은 자유를 대가로 얻는 안정감이며 족쇄다. 안정감은 일상의 균형을 맞춰주지만 한편으로 벗어나고 싶단 상념에 사로잡히게 만든다. 저자 브레네 브라운은 피부색에 대한 차별이 존재하는 미국에서 일찌감치 소속감을 경험한다. 자신이 배제되는 순간을 여러 번 경험한 후, 학창시절 내내 어딘가에 소속되어 집단에 어우러질 수 있는 사람이 바랬다. 그 결과, 취약성, 소속감, 수치심, 공감에 대한 연구를 통해 많은 사랑을 받았다.

 

진정한 소속감은 수동적이지 않다. 집단에 들어가기만 하면 따라오는 것이 아니다. 더 안전하다는 이유로 적응하거나 가식적으로 행동하거나 신념을 버리는 행동도 아니다. 취약성을 드러내고 불편함을 느끼며, 진정한 자기 자신을 버리지 않으면서도 사람들과 함께 있는 법을 배워야 가능한 것이다. 진정한 소속감을 얻으려면 힘들 걸 알면서도 역경에 부딪히는 엄청난 용기가 필요하다. (p. 57)

 

소속감은 내가 집단에 속한다는 일차적인 개념을 넘어 내가 나에게 속한다는 고차원적인 개념으로 발전한다. 그런 발전이 있어야 소속감을 칭하지 않아도 반듯하게 설 수 있는 자유를 얻을 수 있다. 나약해지면 약한 마음이 밀려온다. '난 왜 이것밖에 안될까?', '보통 사람들처럼 살고 싶은데 나는 왜 이게 힘들까?' 질문을 던지는 횟수가 잦아진다. 중요한 건, 이때 나를 가로막는 장벽을 넘어설 수 있다는 것이다. 용기는 이때 발휘된다. 계속 나를 알아보려는 용기는 건강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우리가 살면서 갑옷을 입게 되는 이유는 대개 두 가지다. 첫째, 감정에 익숙하지 않고 취약성을 나약함과 동일시하기 때문이고 둘째, 정신적 외상을 입은 경험에서 취약성이 위험하다고 배웠기 때문이다. 폭력과 탄압에 마주할 때 온화한 가슴은 불리하고, 취약성을 드러내도 될 정도로 감정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안전한 장소를 찾기는 어렵다. 취약성의 정의는 불확실성과 위험, 감정 노출이다. 그러나 취약성은 나약함이 아니다. 취약성은 용기를 가장 정확하게 재는 척도다. 취약성에 대한 믿음이 장벽일 때 관건은 '결과를 통제할 수 없을 때 기꺼이 나타나서 본모습을 드러낼 것인가?'이다. 취약성을 가로막는 장벽이 안전할 때 문제는 '본모습을 완전히 드러낼 수 있도록 기꺼이 용감한 공간을 마련할 것인가?'이다. (p. 208~209)

 

진정한 소속감은 외부와 타협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라 마음에 담는 개념이다. 무언가의 일부가 되는 동시에 홀로 황야에 용감히 맞서며 성스러움을 찾는 경험이다. 잠깐이라도 경지에 이른다면 우리는 어디에나 속하는 동시에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터무니없는 소리 같지만 진실이다. (p. 62)

 

타협점을 찾는 것이 사회라 한다. 타협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마저도 놓을 수 없는 마지막 끈과 갈등을 일으킨다. 타협을 한 사람도 그렇지 않은 사람도 존중할 가치가 넘치는 사람이란 것이 그녀의 주장이다. 어디에나 속하는 동시에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역설에 마음이 동하는 날이 언젠가 올 테지 하고 기다려본다. 누군가와 비교하며 뒤처졌다 자책하는 건 진정한 내가 아니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