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차와 장미의 나날
모리 마리 지음, 이지수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좀 곤란한 인생이지만 잘 먹겠습니다!
일본 대문호 '모리 오가이'의 장녀로 태어나 부족한 거 없이 부잣집 고귀한 아가씨로 지낸 '모리 마리'. 풍족했던 유년 시절과 달리, 2번의 결혼생활은 순탄치 못했고 전쟁과도 같았다. 상황적으로 극과 극을 경험했던 그녀가 무너지지 않고 삶을 이어올 수 있었던 것은 주변에서 소소한 행복을 찾아 누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소확행 정신의 선구자'란 타이틀이 아깝지 않은 그녀의 중심엔 '음식'이 자리해 있다.
음식은 발 빠르게 행복감을 누릴 수 있는 대상이다. 나도 화가 나면 엄청 매운 떡볶이를 먹으며 마음을 달래고, 힘들 때는 달달한 디저트와 카페모카를 먹으며 단 맛의 놀라움을 몸소 경험하고 있기도 하다. 그만큼 음식은 맛을 통해 단순하게 행복한 탈출구를 제공해 준다. 모리 마리는 책에서 내내 자신이 만들고, 먹었던 여러 가지 음식들을 소개하고 있다.
유년 시절의 음식에선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이 잔뜩 묻어 나온다. 청결과 위생을 엄격하게 지켰던 아버지로 인해 날 것의 음식을 먹지 못했던 그녀가 우연히 외가댁에서 먹은 복숭아의 단 맛에 놀라움을 느끼고, 금단의 문을 열 듯 하녀가 몰래 가져다준 군것질거리에 재미를 느낀다. 시집을 가고 나서는 오요시를 통해 보고 배우며 음식에 대한 넓은 시야를 갖는다.
요리는 잘하든 못하든 그녀가 집안일 중 가장 주체적으로 할 수 있는 분야였다. 세숫물부터 옷을 입고 학교에 가는 일거수일투족을 하녀의 도움으로 해냈던 아가씨는 요리를 통해 '스스로'의 재미를 붙여나갔다. 작가로서 급한 마감이 코앞에 있더라도 그녀는 과거의 음식을 떠올리며 해먹고 싶은 것을 직접 만들어 재현하고 맛보며 과거를 현재화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요리는 시간이 걸리는 과정이다. 과정에 온전히 집중하며 행해야 원하는 맛과 모양을 얻을 수 있다. 그 속에서 평온함은 느낀다. 요즘 누군가의 요리 영상을 보며 맛을 상상한다. 칼질하는 소리, 보글보글 끓는 소리, 지글지글 볶는 소리는 ASMR이 되어 잠시 스트레스 상태에서 무해하게 만들어 준다. 마리의 음식 이야기도 보는 내내 침이 고였다. 대단한 요리 실력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나만 행복하다면 나를 위해 음식을 만들어 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