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의 기억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19살의 소년 폴과 48살의 어른 수잔의 슬픈 사랑 이야기다. 처음에는 그들의 '나이'에 주목할지라도 점점 고조되고 파국으로 치닫는 과정을 보면 사랑이란 감정은 도대체 무엇을 안겨다 주는지 고민하게 한다. 테니스 파트너로 처음 만난 둘은 점차 서로의 끌림을 인정하고 만나게 된다. 폴은 어른이 되고 싶어 하고, 수잔은 어른이 되어야 하지만 사랑이란 감정 안에선 폴이 어른이 되기도 수잔이 아이가 되기도 한다. 좋고 싫은 모습도 마주하며 봐야 하는 감정의 특성과 주변의 시선, 사회적 제약은 점점 둘을 힘들게 만든다.

우선, 수잔은 기혼이다. 그녀에겐 남편과 두 딸이 있다. 아이들의 엄마로서 한 가정의 아내로서 지켜야 하는 것들이 있다. 하지만 그녀는 오랜 시간 남편의 폭력을 받으며 살아왔다. 지켜야 하는 건 오히려 그녀 자신인지도 모르겠다. 그녀를 사랑하는 폴은 그냥 보고 있을 수가 없다. 그녀를 힘들게 만드는 사람들로부터 멀리 둘은 도망친다. 마치 그곳엔 바라는 행복이 기다리고 있단 듯이.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지.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해. 어쨌든 절대 잊지 마세요. 폴 도련님. 모든 사람에게는 자기만의 사랑 이야기가 있다는걸. 모든 사람에게. 대실패로 끝났을 수도 있고, 흐지부지되었을 수도 있고, 아예 시작조차 못 했을 수도 있고, 다 마음속에만 있었을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게 진짜에게서 멀어지는 건 아니야. 때로는, 그래서 더욱더 진짜가 되지. (p. 75)

 

떠나서 과연 둘은 행복했을까? 오히려 수잔은 더 커진 불안감에 알코올 중독자가 돼버린다. 결국 정신과를 들락날락하고 나중에는 완전히 정신을 놔버린다. 사랑이 만들어낸 손길은 독으로 돌아왔다. 폴과 함께 하면서 그녀는 알 수 없는 불안감에 휩싸였다. 극복하지 못해 술에 의존하게 됐다. 폴은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아니, 점점 지쳐가다가 질려갔다. 그녀의 모든 걸 이해할 수 있다고 자신하게 만들던 추상 명사는 지극히 추상적이었다.

 

사랑을 '이해하는 것'은 나중에 오는 것이고, 사랑을 '이해하는 것'은 현실성에 근접한 것이고, 사랑을 '이해하는 것'은 심장이 식었을 때 오는 것이다. 무아지경에 빠진 애인은 사랑을 '이해하고' 싶어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경험하고 싶어 하고, 그 강렬함, 사물의 초점이 또렷이 잡히는 느낌, 삶이 가속화하는 느낌, 얼마든지 정당화할 수 있는 이기주의, 욕정에 찬 자만심, 즐거운 호언, 차분한 진지함, 뜨거운 갈망, 확실성, 단순성, 복잡성, 진실, 진실, 사랑의 진실을 느끼고 싶어 한다. (p. 141)

 

그는 이야기한다. 그녀를 사랑하는 것이 그녀를 이해한다는 뜻이라면, 그녀를 이해하는 것에는 그녀가 왜 술꾼인지 이해하는 것도 포함되어야 한다. (p. 222) 고. 그를 결국 이해하지 못했다. 이해=사랑은 아니란 것을 일련의 과정을 통해 깨달았다. 그녀를 깊이 사랑했을지는 몰라도 깊이 이해하지는 못했다. 한쪽이 파국이 된 이상 사랑은 끔찍한 기억일 뿐이다.

책은 폴의 관점으로 쓰여있다. 즉, 폴의 이야기만 들을 수 있단 소리다. 폴이 수잔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사랑을 어떻게 정의 내리는지, 고통을 겪는 상대를 보며 어떻게 느끼고 받아들이는지 이 모든 것이 한쪽의 일방적인 이야기다. 이게 소설의 핵심 포인트인 것 같다. 수전은 어떻게 폴을 생각했는지, 사랑을 어떻게 정의 내렸는지 알 수 없기에 '사랑의 맹점'이 드러난다. 내 감정에 충실한 나머지 상대를 잃어버린 폴처럼.

완벽하지 않은 우리의 감정은 이렇게나 이기적이고 헌신적이고 아름다우며 잔인하다.

 

"사랑을 더 하고 더 괴로워하겠는가, 아니면 사랑을 덜 하고 덜 괴로워하겠는가?
그게 단 하나의 진짜 질문이다,라고 나는, 결국,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