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1 : 태조 - 혁명의 대업을 이루다 조선왕조실록 1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왕조의 모든 기록이 세세하게 기록되어 있다는『조선왕조실록』 은 어떤 왕도 열람할 수 없는 기밀문서였다. 자신의 업적을 후대 왕이 이어 기록하는 방식으로 기록된 엄청난 양의 역사가 10권의 책으로 재탄생 되었다. 이덕일 작가님은 이를 위해 무려 10년간의 구상과 5년간의 지필 활동을 했다고 하니 대단하신 것 같다. 그 중, 첫 번째 이야기인 1권은 태조 이성계의 조선 건국 과정을 담고 있다.

고려 말기 상황은 원 간섭기로 부정부패가 만연했다. 『기황후』 라는 드라마가 방영되며 당시 상황을 그렸지만 역사왜곡을 벗어나지 못했다. 기황후를 등에 업고 왕 행세를 부리던 기철의 최후와 공민왕의 개혁 이야기가 깊고 자세하게 다루어진다. 특히, 고려는 토지를 둘러싼 부패가 만연했는데 이를 해결하지 못해 매번 원상복귀되는 상황이 답답하게 여겨지기도 했다.

이성계는 토지 제도의 문제를 알았는지 후에 자신이 왕이 되고 나자 과전법을 실시하며 개혁을 이뤄냈지만, 이는 기존의 경정 전시과 다를 바 없었다는 점이 새로웠다. 역사에서 승자였던 이성계가 자신의 눈으로 쓰인 역사임을 알게 해준 부분이었다. 그래도 누락된 토지를 조사, 기록하여 농민들의 울분을 털어냈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었다.

조선을 창업한 이성계는 리더십을 발휘했다. 특히, 정도전과의 관계는 군신관계를 넘어 진한 우정을 느끼게 해주었다. 명의 주원장이 정도전을 보내라 협박했지만 굴복하지 않고 지켜냈던 것을 보면 이들은 같은 꿈을 꾼 동지라 여겨졌다. 하지만 그가 2번의 왕자의 난을 수습하지 못한 걸 보면 왕과 아버지로서 중립을 지키지 못한 것으로 보였다. 인간미가 느껴지기도 했지만 처음부터 이방원을 세자로 임명했으면 조선의 역사는 평화롭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비록 방원에 의해 북벌정책을 통한 황제국은 물 건너 갔지만.


만약 방원이 아버지의 뜻을 이어 북벌을 했다면 조선의 영토는 달라지지 않았을까 싶다. 주원장이 계속 조선을 경계할 정도면 가능성 있는 싸움이라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면 조선이 명의 위에 있지 않았을까?

이덕일 작가님이 조선의 역사를 재미있게 읽어나갈 수 있도록 많은 배려를 해둔 것이 보인다. 역사를 좀 더 바른 관점으로 볼 수 있단 것이 좋았다. 드라마를 통해 관심을 갖긴 하지만 고증을 제대로 하지 못해 생기는 문제들이 많아 왜곡한 역사관이 심어지기도 하니 앞으로 이런 콘텐츠들이 사랑받고 읽혔으면 좋겠단 생각이 든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란 없고,

미래를 언제나 그랬듯 살아남은 사람들의 몫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