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아로니아공화국
김대현 지음 / 다산책방 / 2018년 6월
평점 :

대한민국 헌법 제1조 2항 대한민국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국가란 국민입니다!
영화 『변호인』에 나오는 대사이다. 국가의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이 헌법 조항이 과연 잘 지켜지고 있을까? 매일 뉴스에 등장하는 건 각종 갑질로 인한 부당한 피해다. 국가는 이런 파렴치한 이들에게 통쾌한 한방을 주지 못한다. 우스갯소리로 “한국은 돈이 많으면 살기 좋은 나라”란 말까지 나온다.
국가는 국민이라는데 왜 국민은 행복하지 못할까? 여기 한 남자가 새로운 국가를 건설한다. 한국 주입식 교육의 수혜자이며 서울대학교를 나와 검사가 된 ‘김강현’. 그는 단순히 한국이 싫어서 새 나라를 건국하려 하는 것이 아니다. 오직 헌법에 명시된 것처럼 국민이 국가 그 자체인 나라를 직접 만들고 싶어서, 그런 나라라면 국민이 행복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책은 김강현이 자라온 사회 환경을 빠르게 다룬다. 군부정권 시대부터 각 정권이 바뀔 때마다 있었던 큰 사건들, 동네 친구들 삥을 뜯던 그가 어떻게 공부에 눈을 떠 검사까지 되었는지가 순식간에 지나간다. 그리고 그 속에서 그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검사 조직 안에 있던 그가 검사를 때려치운 이유는 검사들이 자신들의 세계를 유지하기 위해 재판의 방향을 조정했기 때문이다. 검사들은 검찰이 국가였다. 무고한 사람을 구별하기 위해 법의 길을 갔던 그와는 달랐다.
우리라고 규정된 검사들은 우리를 위하여 수사했고 우리를 위하여 담합했고 우리를 위하여 무마했다. 국민을 위하여 꼬리치고 국민을 위하여 용감하고 국민을 위하여 투철해야 할 검찰은 우리를 위하여 오로지 우리만을 위하여 복무했다. 한마디로 검찰은 쓰레기였고 검찰청은 쓰레기장이었다. (p. 137)
이후 JDZ(한일 공동 개발구역)에 새로운 국가 ‘아로니아’를 건설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과 치밀하게 준비한다. 시진핑을 만나 도움을 청하고 한국과 일본이 이 대륙붕 때문에 싸워 분쟁지역이 되며 점차 자신들의 시나리오대로 흘러가는 것에 희열을 느낀다.
영세하지만 이 작은 나라를 지키기 위해 선거를 치르고 대통령을 뽑는다. 1대 대통령이 된 김강현은 아로니아 국민들을 위해 힘을 쏟는다. 미국 잠수함이 영해를 침범하면 국민들을 최우선적으로 대피시킨 후, 그들을 격파한다. 자신들이 독립 국가임을 인정받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인다. 자신은 주입식 교육의 수혜자지만 이런 교육 제도로 인해 사람들이 고통받지 않길 원한다. 모든 국민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고 목소리를 낸다.
국가란 이런 것임을,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권력은 이런 것임을 똑똑히 보여준다. 하지만 아로니아 공화국의 3대 대통령 선거에서 그의 부인인 수영이 당선되며 이야기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게 된다. 수영의 공약은 ‘아로니아를 없애겠다’이다. 행복함을 강요하는 것도 또 다른 억압이란 사실을, 국가란 국민을 종속시켜야만 존재하기에 종속되기 싫은 사람의 권리는 부정된단 사실을 수영이 일깨워준다.
그리고 10년 후, 어처구니없게도 진정으로 인간을 위하는 국가는 세상에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재밌고 신나는 국가든, 강하고 새로운 국가든, 국가는 스스로 존재하고자 국가 구성원에게 의무를 강제하고 책임을 부여하고 희생을 요구한다. 만약 국가 구성원의 의무와 책임과 희생이 없다면 국가는 존재할 수 없다. 국가는 인간이 없으면 살 수 없지만 인간은 국가가 없어도 산다. 인간은 살았고, 또 살고 있고 앞으로도 그렇게 살 수 있다. ( p.415)
스스로 국가를 만든다고 달라지는 건 없었다. 결국 사람들은 국가가 있는 이상 종속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제한받는 권리들이 존재한다.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는 국가는 존재할 수 없는 유토피아였다.
과연 우리는 국가가 필요한지 생각해보게 한다. 국가란 울타리를 지키기 위해 어떤 희생과 자유가 버려지고 있는지, 인간은 국가 없이도 살 수 있는지 질문을 던진다. 이들처럼 필요해 만들었으면 필요에 의해 없앨 수도 있는 것이 국가가 아닐까? 상상도 못할 상상을 한 번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