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성 맛집 산책 - 식민지 시대 소설로 만나는 경성의 줄 서는 식당들
박현수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9월
평점 :
예전에 나혜석과 후미코를 엮어 1930년에 여행한 여자들이라는 기획도 기가 막혔는데, 그것과 비슷할 정도로 멋진 책이 나왔다. 1920~30년대의 경성 그것도 맛집 이야기라니.. 이런 기획은 도대체 누가 하는 건지 존경스럽고 사랑스러울 정도다.(왜 나는 이런 기획을 하지 못하는 가에 대한 자책도 ㅠ_ㅠ)
그랬다. 서슬 퍼런 식민지를 살아내던 시기에도 조선에는 모던보이, 모던 걸이 있었고 경성은 그 조선 팔도에서 제일 가는 도시였다. 망한 조국의 수도라지만 그곳에도 사람이 살았고 멋이라는 것이 있었으며, 나라 잃은 백성이 어떻게 치열하게 살아내야 했는지에 관한 삶의 이야기가 묻어있다.
책은 방대한 자료를 정리해 당시 경성에 실제로 있었던 10곳의 맛집을 소개한다. 백 년 전 경성에 존재했던 화려한 10개의 식당은 거의 사라졌지만, 김두한이 단골이었다던 <이문식당>이라는 설렁탕집은 아직도 종로에서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기도 하다. 저자는 이 식당들의 기록을 찾아 경성 맛집들의 위치와 건물, 메뉴판에는 어떤 음식이 있었고, 누가 주로 이용했으며 가격은 얼마나 했는지에 대한 세세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사실 이것만으로도 흥미롭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가 저자는 당대 소설 속에 기록된 이 식당들의 이름을 찾아낸다. 가령 오전에 <미도의 향불>속의 숙경과 영철이 지나간 청목당의 나선형 계단을 그날 오후 <삼대>의 경애와 상훈이 함께 지나가는 설정은 상상만으로도 흥미롭다.(혹은 이들은 그 계단에서 마주쳤을지도 모른다!) 이야기가 흔치 않던 시대의 이야기들을 좇아, 식당을 매개로 두 개의 이야기를 하나의 세계관 아래 풀어나가는 이야기들은 정말이지 재미있다. 아이언맨과 캡틴 아메리카가 한 화면에 등장하기 전에 우리에게도 이런 세계관이 있었다. 이런 상상력은 진짜 와(최고)
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이 식당이 우리 민족에게는 어떤 의미였는지 찾는다. 서슬 퍼런 시대. 누군가는 그 식당과 카페에서 식사를 하고 글을 쓰고, 커피를 마셨을 것이며 또 누군가는 하루에 그 식당 앞을 몇 번이나 오가는 인력거꾼으로 살았을 것이다. 또 다른 누군가는 성냥팔이, 또 다른 누군가는 청소부였을지도 모른다. 독립운동을 준비하며 그 식당에 숨어들어야 했던 이들에게 이 식당은 죽어도 잊지 못할 장소가 될 것이다.(조선공산당이 창립된 곳이 이 책에서 소개된 <아서원>이다.)
거의 500페이지에 육박하는 책임에도 이런 저런 상상에 꽤 신나게 읽었다. 책을 빨리 읽는 편인데 가능하면 모든 사진과 삽화를 주워삼키느라 정말 한참을 붙잡고 있었다. 읽다 말고 어떤 식당은 한참을 주변에 앉아있는 이들에게 소개하기도 했다.
다음은 이 책에서 기록하는 경성 맛집 리스트다.
경성의 핫플레이스! 조선 최초의 서양요리점 청목당
옥상정원과 아이스크, 가족의 나들이 명소 미쓰코시 백화점 식당 → 현재 신세계백화점 본점
술로 꽃피우던 사랑과 연회의 공간 일본요리옥 화월
남국의 파도 소리가 들리는 과일 디저트 카페 가네보 프루츠팔러
경성 유일의 정갈한 조선 음식점 화신백화점 식당
김두한의 단골 설렁탕집 이문 식당
평양냉면에 필적하는 경성 냉면집 동양루
최초로 정통 프렌치 코스 요리를 선보인 조선호텔 식당
이상, 박태원의 단골 카페이자 예술가들의 소일터 낙랑파라
고급 승용차들이 즐비했던 고급 중화요리점 아서원
백 년을 거스른 시간(그것도 맛집) 여행. 이 즐거운 여정에 당신을 초대한다.